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58728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http://www.riss.kr/link?id=T13658728


- 저자  : 정운경

- 형태사항 :  viii, 18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변상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사회복지상담학과 가족상담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웰다잉,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

- 소장기관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중앙도서관




- 초록

본 연구는 ‘그저 기다리는 죽음’이 아닌 ‘맞이하는 품위 있는 죽음’으로서의 웰다잉을 위해 노인들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돕고, 웰다잉 프로그램과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웰다잉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행복한 노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0시에 소재하는 A요양원에 생활 중인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30명은 실험집단으로 3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2013년 9월 13일부터 11월 29일까지 거리적 제한으로 인해 격주로 1일 2회기씩 시행하였으며, 각 회기 당 90~150분씩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웰다잉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죽음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연구변인인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속변인에 해당하는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은 매우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매개변인인 죽음불안은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웰다잉 프로그램과 삶의 질, 웰다잉 프로그램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죽음불안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목차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 3. 연구의 문제 5
  • 4.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웰다잉 8
  • 가. 죽음의 개념 8
  • 나. 죽음에 대한 관점 9
  • 다. 죽음 관련 이론 14
  • 라. 웰다잉의 개념 23
  • 마. 웰다잉 프로그램 25
  • 2. 한국의 웰다잉 프로그램 실제 35
  • 가.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교육 35
  • 나. 기관 및 단체의 교육 53
  • 3. 삶의 질 59
  • 가. 삶의 질 개념 59
  • 나. 삶의 질 영향요인 61
  • 4. 죽음불안 63
  • 가. 죽음불안 개념 63
  • 나. 발달단계에 따른 죽음불안 64
  • 다. 죽음불안 영향요인 67
  • 5. 자아통합감 70
  • 가. 자아통합감 개념 70
  • 나. 자아통합감 근거 성취 노년기 발달과제 72
  • 6. 선행연구 74
  • Ⅲ. 연구방법 77
  • 1. 연구대상 77
  • 2. 연구설계 77
  • 가. 실험설계 77
  • 나. 연구과정 78
  • 다. 연구모형 80
  • 3. 연구가설 81
  • 4. 프로그램 구성 81
  • 가. 프로그램 개요 81
  • 나. 프로그램 내용 82
  • 다. 회기별 프로그램 84
  • 5. 조사도구 98
  • 가. 죽음불안 99
  • 나. 삶의 질 100
  • 다. 자아통합감 100
  • 6. 자료처리 101
  • Ⅳ. 연구결과 103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103
  • 2. 동질성 검증 106
  • 가. 인구통계학적 특성 동질성 검증 106
  • 나. 삶의 질 동질성 검증 107
  • 다. 죽음불안 동질성 검증 108
  • 라. 자아통합감 동질성 검증 109
  •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별 차이 109
  • 가. 삶의 질 109
  • 나. 죽음불안 110
  • 다. 자아통합감 111
  • 4. 가설검증 112
  • 5. 가설검증결과 122
  • 6. 대상자 배경 및 인터뷰 124
  • Ⅴ. 논의 141
  • Ⅵ. 결론 150
  • 1. 요약 150
  • 2. 제언 151
  •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연구방향 152
  • 참고문헌 153
  • ABSTRACT 168
  • 부록 17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12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김희경 2003  2523
    7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6
    710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74
    709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33
    708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2007  1568
    707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0
    70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2
    70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2018  1502
    »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70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6
    702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70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2016  1359
    70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69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29
    69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3
    69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09
    69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2018  1253
    69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2006  1246
    69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41
    693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