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감리교신학대학교 : 기독교윤리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95213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저자 : 허반석
  • 형태사항 : 103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충구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감리교신학대학교 : 기독교윤리학전공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안락사, 죽음, 좋은죽음, 조력자살,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중단, Euthanasia, Physician Assisted Sucide, Hospice, Living Will, Death with Dignity


초록 (Abstract)

  •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관점으로 좋은 죽음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좋은 죽음을 갈망하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좋은 죽음 - ‘어느 누구에게도 폐를 끼치지 않는 죽음’, ‘편안한 죽음’, ‘준비된 죽음’, 등 –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적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의 죽음에 관한 논의가 있기는 하였지만,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이루어진 각 연구들 간의 학문적 교류에까지는 다다르지 못하였다. 더욱이 의료기술의 점진적 발달에 따라 죽음의 시점을 결정하는 일에 있어서도 법률적, 제도적 지침이 미흡한 상태이다. 더욱이 한국에서의 의사들은 소극적 안락사조차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해석하여 의학적 판단이나 환자 및 가족들의 요청과는 관계없이 환자가 죽을 때까지 무의미한 의료행위를 계속 실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죽음을 앞두고 있는 이들에게 양질의 의료를 정의롭고 공평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와 정부차원의 제도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좋은 죽음에 대한 논의는 일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뿐, 학문적 연구 차원으로의 발전은 이루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좋은 죽음에 대한 진중한 성찰의 필요로부터 시작하여 생명과 죽음에 대해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관점으로 다시금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더욱이 산재해 있고, 파편화되어 있는 다양한 안락사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고, 그 인접개념이자 앞으로 적극적 논의가 더욱 필요한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현주소와 논쟁점에 대해서도 이미 사회적 합의에 다다른 국가들과 논의 중에 있는 나라들의 사례를 동반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좋은 죽음을 맞고자 하는 사회적 대안으로 호스피스 제도와 사전의료지시서(Living Will)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달에 따라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병원에서 환자의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의료기술의 발달에 비례하여 환자의 생명도 더욱 연장되어지고 있으며, 죽음의 시점을 결정하는 문제 또한 더욱 세세하게 나누어졌다. 이와 같이 더욱 복잡해져가는 현실 속에서 좋은 죽음에 관한 논의는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며, 앞서 사회적 합의를 이룬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본다면 대한민국에서의 논의는 더욱 다급하다. 결론적으로 어떻게 사는 것이 가치 있는 삶이고, 어떻게 삶의 마지막 장을 마무리하는 것이 인간적이고 인도적인지가 좋은 죽음 논의의 핵심이다. 더불어 본 논문은 병원에서 환자의 모습으로 삶을 마무리하는 오늘날 죽음의 모습 속에서 그 논의의 초점은 어디에 맞추어져야 할 것인지를 인식하게 하는 의미 있는 연구이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죽음에 대한 이해

    1. 죽음의 의미

    1) 생명의 정의

    (1) 생명의 기원

    (2) 생명의 의미

    2) 죽음의 정의

    (1) 죽음의 개념

    (2) 죽음의 종류

    (3) 죽음에 대한 관점들

    (4) 죽음에 대한 종교적 관점들

    Ⅲ. 안락사에 대한 이해

    1. 안락사의 의미

    1) 역사적 이해

    (1) 고대

    (2) 중세

    (3) 근세

    (4) 현대

    2) 종교적 이해

    (1) 성서적 이해

    (2) 각 종파별 이해

    3) 안락사 분류 기준과 유형

    (1) 안락사의 분류 기준

    (2) 안락사의 유형과 개념

    (3) 안락사의 현대적 분류

    2. 안락사와 자살의 구분과 연관성

    1) 자살, 조력자살, 의사조력자살 그리고 안락사

    Ⅳ. 의사조력자살(Physician Assisted Suicide)

    1. 의사조력자살의 의미

    2. 의사조력자살과 인접개념과의 구별

    1) 의사조력죽음(Physician-Assisted death)

    2) 연명치료중단

    (1) 연명치료중단과 의사조력 자살의 구별론

    3) 안락사

    4) 존엄사

    5) 현대적 의미의 재정의

    3.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외국의 현실

    1) 미국

    2) 캐나다

    3) 영국

    4) 독일

    5) 네덜란드

    4.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대한민국에서의 논의

    1) 사회적 분위기

    2) 의사윤리지침의 공포

    3)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론과 불허론

    (1)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론 대두

    (2) 적극적 안락사의 불허론

    (3)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론

    (4)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요건

    (5) 적극적 안락사의 비범죄화 요건

    5. 의사조력 자살에 대한 재고

    1) 윤리적 정당성

    (1) 공리주의적 유용성의 원칙

    (2) 환자의 자율성 존중

    (3) 환자의 고통에 대한 동정

    (4) 삶의 질

    2) 사회적 대안

    (1) 호스피스(Hospice)

    (2) 사전의료지시서(Living Will)

    (3) 경제적 지원과 제도화

    3) 논쟁점

    (1) 남용의 우려

    (2) 미끄러운 경사면 논증

    (3) 생명에 대한 책임윤리의 정립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52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65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2011  202
    65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64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47
    648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64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2011  8035
    646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08
    64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33
    64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인식:Q-방법론적 접근 / 배보경 2007  626
    643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899
    64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 이영옥 2012  536
    64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 일부종합병원 중심으로 / 전명희 2008  763
    64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5
    63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638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63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636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2015  259
    »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63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5
    63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