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원광대학교 : 간호학과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08886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Awareness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between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families


  • 저자 : 김원정
  • 형태사항 : p90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강지숙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원광대학교 : 간호학과 간호학과 2015. 2
  • 발행국 : 전라북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초록 (Abstract)

  • 목적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연명치료 이해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는 W대학교의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WKIRB-201403-SB-006).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J도와 K광역시에 위치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91명, 중환자실 보호자 76명이 연구참여 동의서 작성 후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박연옥 등(200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박연옥 등(2004)의 도구는 8문항으로, 이를 ‘환자가 원하는 경우 치료중단을 할 수 있는가’와 ‘환자가 의사결정을 할 수 없을 때 가족과 의료인이 합의 시 치료중단을 할 수 있는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연명치료중단 중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성숙 등(2001)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4월부터 2014년 6월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통해 실수, 백분율, 2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은 환자본인이 연명치료중단을 원하는 경우 ‘심호흡마비가 있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간호사 76명(83.5%)이었고,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는 간호사 70명(76.9%),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는 간호사 66명(72.5%)순이었다. 환자가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경우 가족과 의료인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합의 시 ‘심호흡마비가 있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간호사 71명(78.0%)이었고,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는 간호사 69명(75.8%)이었으며,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는 간호사 66명(72.5%)이었다.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인식에 있어 우선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하다고 답한 간호사는 87명(95.6%)이었고,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한 이유로는 ‘회복 불가능’이 52명(59.8%)으로 가장 많았고, 심폐소생술금지의 결정자는 ‘환자와 가족’이라고 답한 간호사가 50명(54.9%)으로 가장 많았으며, 심폐소생술금지의 설명 시기는 ‘말기질환으로 입원한 경우 입원 즉시’라고 답한 간호사가 41명(45.0%)이었다. 환자 본인에게 심폐소생술금지를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예’라고 답한 간호사가 82명(90.1%)이었고, 본인의 경우 ‘심폐소생술금지를 시행하겠다’는 간호사가 49명(53.8%)이었다. 가족의 경우 ‘심폐소생술금지를 상황에 따라서 시행하겠다’는 간호사가 49명(53.8%)이었고, ‘문서화된 심폐소생술금지 지침이 필요하다’는 간호사가 82명(90.1%)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환자실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은 환자본인이 연명치료중단을 원하는 경우 ‘산소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호자 51명(67.1%), ‘호흡기를 제거할 수 있다’는 보호자 50명(65.8%),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호자 41명(54.0%) 순이었다. 환자가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경우 연명치료중단에 대해 가족과 의료인의 합의 시 ‘호흡기를 제거할 수 있다’는 보호자 44명(57.9%), ‘산소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호자가 43명(56.6%)으로 나타났으며, ‘위관영양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호자가 40명(52.6%)이었다.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인식에 있어 우선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하다고 답한 보호자가 53명(69.7%)이었고,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한 이유로는 ‘회복 불가능’이 25명(47.2%)으로 가장 많았고, 심폐소생술금지의 결정자는 ‘환자와 가족’이라고 답한 보호자가 32명(42.1%)으로 가장 많았다. 심폐소생술금지의 설명 시기는 ‘자발적 호흡 정지 시’라고 답한 보호자가 37명(48.7%)이었다. 환자 본인에게 심폐소생술금지를 설명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예’라고 답한 보호자가 48명(63.2%)이었고, 환자가 본인인 경우 ‘심폐소생술금지를 시행하겠다’는 보호자는 39명(51.3%)이었다. 환자가 가족인 경우 ‘심폐소생술금지를 상황에 따라서 시행하겠다’는 보호자는 36명(47.4%)이었고, ‘문서화된 심폐소생술금지 지침이 필요하다’는 보호자는 55명(72.4%)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은 환자가 원하는 경우 ‘심호흡 마비가 왔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2=27.720, p<.001),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2=11.578, p=.003),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2=12.464, p=.001)는 질문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환자가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경우 가족과 의료진의 합의 시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한 결과, ‘심호흡 마비가 왔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2=25.810, p<.001),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2 =14.081, p=.001),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2=14.373, p=.001), ‘혈압상승제 주입을 중단할 수 있다’(2=6.923, p=.032)는 문항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은 ‘심폐소생술금지 필요성’(2=20.445, p<.001), ‘심폐소생술금지 필요 이유’(Fisher=7.130, p=.021), ‘심폐소생술금지 설명시기’(2=13.128, p=.004), ‘환자 본인에게 심폐소생술금지 설명의무’(2=17.442, p<.001), ‘본인의 심폐소생술금지 시행 여부’(2=9.689, p=.008), ‘문서화된 심폐소생술금지 지침 필요’(2=9.823, p=.007) 문항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어,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는 보호자의 상담자, 지지자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보호자와의 충분한 의사소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와 보호자를 위한 연명치료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용어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연명치료중단의 개념 6

    2.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8


    Ⅲ. 연구방법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도구 11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2

    5. 자료분석 13

    6. 연구의 제한점 13


    Ⅳ. 연구결과 14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가.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14

    나. 중환자실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 17

    2. 대상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21

    가.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21

    나. 중환자실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26

    3.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의 차이 31


    Ⅴ. 논의 40


    Ⅵ. 결론 및 제언 47

    1. 결론 47

    2. 제언 5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52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65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2011  202
    65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64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49
    648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64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2011  8120
    646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0
    64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43
    64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인식:Q-방법론적 접근 / 배보경 2007  626
    643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900
    64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 이영옥 2012  536
    64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 일부종합병원 중심으로 / 전명희 2008  763
    64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5
    63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638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63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2015  259
    635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63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6
    63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