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 Vol.43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14866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The Sanctity of 생명 and the dignity of 삶


  • 제어번호 : 100314866
  • 저자명 : 강철
  •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 Vol.43 No.2 [2014]
  • 발행처 :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79-121(43쪽)
  • 언어 : -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연명의료 ,생명 ,삶 ,고귀성 ,존엄성 ,서사성 ,존엄한 삶의 권리 ,life ,sanctity ,dignity ,life-sustaining treatment ,narrativity


초록 (Abstract)

현대 생명연장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발전가능성은 우리 사회에 연명의료에 관한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특히 지난 대법원판결(2009다17417 무의미한 연명의료장치 제거 등)과 헌재판결(2008헌마385 임법부작위 위헌확인) 이후에 우리 사회의 담론의 지형은 '연명의료중단, 허용될 수 있는가'의 문제에서, '언제 어떤 이유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정당한가'의 문제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연명의료를 제도화하려는 현 단계에서 두 가지 문제가 관건이라고 보는데, 하나는 '어떤 요소를 얼마만큼 비중있게 검토해야 하는지'이고, 다른 하나는 '어떤 절차를 거쳐서 연명의료 사안에 접근해야 하는지'이다. 본 논문은 두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개념들과 이론적 논거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인간존재를 구성하는 근본적인 두 현상은 '생명'과 '삶'이라고 보며, 이것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생명에서는 '인간존재의 변화양태'를, 삶에서는 '서사성'을 주의 깊게 살필 것이다. 둘째,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을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헌법 제10조 제1문 전단으로부터 '생명권'뿐만 아니라 '존엄한 삶의 권리'도 도출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셋째, 생명연장기술이 급속히 발달하는 시대에도 우리의 인식과 가치관을 총체적으로 지도하고 규제해 줄 기본원리는 헌법이라고 본다. 이런 입장에서 헌법의 기본이념과 가치질서가 변화되어야 한다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넷째, 연명의료 사안에서 주목할 만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추론절차를 거쳐서 그 사안에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자기결정의 인정'과 '자기결정의 존중'이라는 구분에 의거한 두 가지 절차를 검토할 것이다. 다섯째 '존엄한 삶의 권리'와 '생명보호의무'라는 개념에 근거해서 연명의료에 관한 새로운 이론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일부에서 주장하는 '죽을 권리'가 아닌 '존엄한 삶의 권리'가 헌법상의 권리로 인정되어야만 하는 논거를 제시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생명과 삶

    Ⅲ. 고귀성(高貴性)과 존엄성(尊嚴性)

    Ⅳ. 연명의료의 추론절차

    Ⅴ. 연명의료의 이론구성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2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박형욱 2017  135
    191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행위에 대한 의료형법적 고찰 :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 사례를 중심으로 / 조인호 2008  135
    1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최금희 외 2018  135
    18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2005  134
    188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강보람 2016  133
    187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186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안영 외 2017  133
    185 20 죽음과 죽어감 영상미디어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와 교육적 대안 2010  132
    18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사망과 임상 위험요인과의 관계: 지역 코호트 연구 / 강영미 외 2017  132
    18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과 신학적 윤리 / 이창호 2019  132
    18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2017  131
    181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사회와 죽음교육의 사회학 / 서이종 2016  131
    180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태도와 중증치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태도 / 김지혜 2018  131
    179 20 죽음과 죽어감 흥행영화와 죽음 : 2000년대 전반기 한국 흥행영화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의미작용 / 서곡숙 2009  131
    17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177 20 죽음과 죽어감 레비나스의 죽음론에 관한 한 연구 / 김연숙 2019  130
    176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17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이강옥 2014  129
    174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8
    173 20 죽음과 죽어감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 이브앙리르뢰 2015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