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5.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90211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 The Options of Families About Making Advance Directives





저자 : 양인권
형태사항 : ; 26 cm
일반주기 :
지도교수: 송태수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5. 8
발행국 : 경기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5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www.riss.kr/link?id=T13890211



초록


  • 국문요약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양 인 권
    지 도 교 수 송 태 수


    이 연구의 목적은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임종기 환자들에 대한 의료적 입장들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사전의료의향서의 타당성과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올바른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생명에 대한 윤리적 가치의 정립을 통해 생명존중 문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돕고자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S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2015년 04월 13일부터 04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400부 모두를 회수하였고 통계적 가치가 없는 설문지 7부를 제외한 393부(분석률 98.2%)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 여부, 종교, 월 평균소득, 경제상태, 가족 동거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성별은 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40대 이하(53.7%), 50대(34.4%), 60대(8.1%), 70대(3.3%), 80대 이상(0.5%)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졸(38.7%), 전문대졸(26.0%), 고졸(23.7%), 대학원이상(7.1%), 중졸이하(4.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전체 74.6%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종교 없음(40.2%), 기독교(27.7%), 불교(16.0%), 천주교(13.2%), 기타종교(2.8%)의 순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소득은 100만원이상~200만원 미만(31.3%), 300만원 이상(29.0%), 200만원이상~300만원 미만(25.2%), 100만원 미만(9.2%), 기타(5.3%)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는 보통(75.1%)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과다대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동거유형을 묻는 문항에서는 부부+자녀(49.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전의료의향서가 무엇인지 아는지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61.8% 나타나 과반수이상이 사전의료의향서가 무엇인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의료의향서 제도에 대해 설명을 한 후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는 찬성한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70.8%로 나타나 비교적 이 제도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시기는 건강할 때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50.1%로 나타났으며, 사전의료의향서의 의사결정은 81.7%가 본인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실 생각이 있는지에 관해서는 59.8%가 찬성을 했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특정한 문서 양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는 72.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의료적 권한 법정대리인의 지정에 대해서는 76.3%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가 편안해 질 수 있도록 유지되는 모든 치료를 중단하거나 보류할 것을 제한하여 나의 주치의는 내가 가능한 편안하게 사망할 수 있도록 협조해 주길 부탁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89.8%가 “예”라고 대답했다.
    나는 말기 상황일 경우 나를 살릴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동원하여 치료를 계속해 주길 부탁한다는 문항에서는 “아니오”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71.2%를 차지했다.



  • 목차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제2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3

  • 1. 연구범위 3

  • 2. 연구방법 3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죽음에 대한 정의와 의미 5

  • 1. 죽음의 의학적 의미 5

  • 2. 죽음의 철학적 의미 7

  • 3. 죽음의 종교적 의미 10

  • 4. 임종기 환자의 의료적 상황들 16


  • 제2절 사전의료의향서 26

  • 1.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26

  • 2. 사전의료의향서의 대두배경과 내용 29

  • 3.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 35

  • 4. 외국 및 우리나라의 사례 38


  • 제3절 선행연구 43


  • 제3장 연구설계 46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46

  • 1. 연구모형 46

  • 2. 연구가설 47


  • 제2절 측정도구 47

  • 1.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 47

  • 2. 설문지의 구성 48

  • 3. 자료분석방법 51


  • 제4장 분석결과 52

  • 제1절 기초 분석 52

  •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2

  • 2. 사전의료의향서 실태 55


  • 제2절 가설검증 59

  •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 간의 만족감의 차이분석 59

  •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분석 62

  •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의 차이분석 65


  • 제5장 결론 68

  • 제1절 연구의 요약 68

  • 제2절 연구의 제언 및 한계 70


  • 참고문헌 72

  • 설문지 80

  • Abstract 86

  • 부록 8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52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도 및 현황/최영순 2014  80
    651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연방의사협회 죽음의 동행 원칙 / 이석배 2017  80
    650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2017  81
    6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대리인 지정제도 도입방안 모색 / 김보배 외 2018  83
    648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임종진료에 대한 태도 - 안락사를 중심으로 1999  85
    64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양정연 2013  89
    64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이정임 2011  90
    645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 안병하 2018  90
    64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 · 질병없는 미래를 꿈꾼다 ·· 바이오신약 / 장인진 2004  91
    64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적 허용여부 논의를 위한 한국적 논의 모형 제안 2000  93
    64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향한 불편한 시선, 존엄한 죽음을 말하다 / 하정화 2017  93
    64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 여부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김학태 2008  94
    640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
    639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4
    63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63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6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63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96
    634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633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