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노인및치매간호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033324 

노인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인식:Q-방법론적 접근 = Perception in families of elderly patients on life sustaining treatment:Q-Methodological approach


  • 저자 : 배보경
  • 형태사항 : v, 66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국문요약 : p. i-ii.
    Abstract : p. 63-66.
    부록 : 설문지.
    지도교수 : 이정섭
    참고문헌: p. 56-5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노인및치매간호 전공 2007.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간호학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노인 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인위적으로 생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의료기술의 발전은 치유가 불가능한 환자를 치료하는 상황에서 말기환자의 고비용 문제, 제한된 의료자원의 배분문제와 함께 윤리적, 법적인 문제들을 야기 시킨다.
    환자의 치료를 중단하는 객관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쉽지 않고, 개인의 가치관의 차이에 따라 현저히 달라 질 수 있으므로 연명치료에 대한 당사자의 의견을 문서로 남겨 두는 것이 필요하다(사전의사 결정). 그러나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는 가족의 가치관이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환자의 생애 마지막 순간에 무의미한 생명연장, 환자의 자율성 존중, 질 적 삶의 문제가 갈등의 요소로 대립 될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자가 처한 문제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는 환자 가족의 윤리적 기준에 대한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대상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각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을 객관화하기에 유용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Q-모집단을 추출하기 위해 의료인과 비의료인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한 자료와 생명연장술과 관련된 문헌 조사를 이용하여 표집 한 총113개의 진술문을 의미와 주제별로 10개의 범주로 분류한 다음 각 범주에서 대표적인 진술문 30개를 Q-표본으로 완성하였다. P-표본은 특성이 다양하도록 하여 33명의 노인요양병원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로 하여금 강제 분포가 되도록 각자의 의견 중요도를 7점 척도 상에 Q-분류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는 PC QUANL 프로그램으로 Q-요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생명연장술에 대한 노인 환자 가족의 의식구조는 6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 유형은 ‘합리적 판단형’으로 생명연장술에 대한 윤리적 지침, 환자의 의학적 상태와 삶의 가치, 가족의 심리·경제적 부담감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2 유형은 ‘생명존중형’으로 생명연장술의 시행은 가족으로서의 도리이고 생명은 고귀한 것이므로 생명연장술은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3유형은 ‘거부형’으로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서 단순히 생명만을 연장하는 무의미한 치료는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방해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4유형은 ‘순리적응형’으로 죽음은 자연스런 삶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만성질환자나 뇌사자는 생명연장술을 시행하지 말고 최소한의 의료만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5 유형은 ‘혼돈형’으로 생명연장술에 대한 가족의 의사결정권에 대해 강한 의사를 표현하며, 가족으로서의 도리도 중요하지만 가족의 부담감과 환자의 고통을 고려하여야 하고 의료진과의 합의 또는 가족간에 의견의 일치를 이루지 못해 혼돈스러워 하는 유형이다.
    제 6 유형은 ‘종교형’으로 삶을 종결시킬 권한은 본인·가족 그 누구에게도 없으며 절대자의 몫이라고 인지하는 유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회복불능인 노인 환자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견해를 유형화 하여 그 유형에 속한 대상자들이 생명연장술에 대한 윤리적 갈등을 경험 할 때에 어떤 윤리적인 요소가 작용했는지를 파악 했다는 것이며, 이는 간호사가 간호 사정할 때 그 노인환자 가족이 인식한 생명연장술의 사실적 자료를 제공 받을 수 있고, 간호과정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리라 기대 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3

    Ⅱ.이론적 배경 = 4

    1. 생명연장술의 정의 = 4

    2. 생명연장술과 자율성 = 4

    3. 생명연장술의 중단에 대한 가치 판단 = 6

    4. 생명연장술에 대한 태도와 관련요인 = 7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9

    1. Q-모집단 (concourse)의 구성 = 9

    2. Q-표본의 선정(Q-sampling) = 11

    3. Q-카드와 Q-표본의 분포도 작성 = 14

    4. P-표본의 선정 (P-sampling method) = 15

    5. Q-분류(Q-sorting)과정과 방법 = 16

    6.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17

    Ⅳ. 연구 결과 = 18

    1. 생명연장술에 대한 Q-유형의 형성 = 18

    2. 노인 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유형별 분석 = 21

    Ⅴ. 논의 = 46

    1. 유형별 인식 = 47

    2. 간호 중재 방안 = 51

    Ⅵ. 결론 및 제언 = 53

    참고 문헌 = 56

    부록 = 60

    Abatract = 6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72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17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4
    17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16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
    16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10
    167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2
    166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16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5
    16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16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8
    16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변미경 외 2017  523
    16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3
    160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3
    159 20 죽음과 죽어감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 입원 노인의 연명치료 현황 / 박수현 2016  527
    15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혈중 Visfatin 농도와 식욕부진의 관계 / 이소진, 이준용, 최윤선, 이준영 2014  528
    15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성년후견인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김나래 2014  529
    156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15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1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153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 / 최령, 황병덕 2012  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