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3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신대학교 대학원: 종교문화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343093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저자 : 최형창
  • 형태사항 : 81p. ; 27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79-81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신대학교 대학원: 종교문화학과 2004. 2
  • KDC : 204.4 4
  • 발행국 : 경기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3
  • 주제어 : 생명윤리, 종교, 안락사, 종교윤리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눈부시게 발전하는 현대의 생명공학과 의료 기술에 의해서 새롭게 제기되는 생명 윤리 문제, 특히 안락사 문제에 대한 종교인 또는 종교 단체들의 종교적 대응 태도를 살펴보고, 그 태도가 어떠한 종교적 신념에서 비롯한 것인가를 밝혀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 종교적 신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종교인이나 종교단체들의 안락사에 대한 찬반이나 이에 대한 견해가 종교적 신념을 통해 제시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안락사에 대한 대응 태도를 통해 종교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여 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형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안락사에 대한 대응 태도를 안락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 소극적으로 찬성 또는 반대하는 입장, 그리고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입장 등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갖는 종교적 이유와 신념들을 찾아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 종교적 신념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안락사에 대한 종교계의 입장들이 그들의 종교적 신념을 근거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종교인들과 종교단체들은 종교적 신념을 근거로 하여 안락사에 대한 찬반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었다. 또한 서로 다른 종교인 또는 종교단체라 하더라도 안락사에 대한 태도가 비슷할 경우 종교적 신념의 공통점도 찾을 수 있었다.
안락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들은 당사자 개인의 '죽을 권리'를 강조하면서 그것도 신이 부여한 권리로 보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경전이나 전통적 교리를 현실에 비추어 새롭게 해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진보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종교인과 종교단체들이 대부분 이에 속한다. 반면 안락사를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사람들은 종교적 신념과 교리 또는 계율 등을 문자적으로 적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불교에서의 '불살생' 교리나 기독교의 '인간 생명은 신에 속한 것' 등의 종교적 신념은 안락사를 반대하는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안락사를 자살이나 살인으로까지 확대 해석하기도 하는데 보수적이고 근본주의적인 종교단체들이 이 범주에 속하고 있다. 안락사에 대해 소극적으로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에 있는 종교단체들은 원칙과 현실 사이에서 딜레마에 놓여있다. 원칙적으로는 전통적인 종교적 신념을 강조하면서 현실적으로 안락사를 인정할 수도 있는 상황을 고려하기 때문에 명확한 입장을 유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에 따른 종교적 신념의 공통점은 일반적인 종교적 진보와 보수의 차이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안락사에 대한 대응 태도의 차이는 역으로 그 종교 또는 종교단체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안락사에 대한 찬반의 태도가 종교적 신념의 양태를 가늠하는 준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 목적과 방법 = 7

    3. 연구사 정리 및 연구 범위 = 9

    Ⅱ. 생명 윤리와 안락사의 쟁점 = 17

    1. 생명 윤리와 안락사에 대한 개념 및 일반적 논의 = 17

    2. 생명 윤리의 주요 관심사 ;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이해 = 24

    3. 안락사에 대한 일반적 찬ㆍ반 논거 = 30

    Ⅲ. 안락사와 종교적 신념 = 34

    1. 안락사에 대한 종교계의 찬ㆍ반 논의 = 35

    1) 개신교계의 논의 = 35

    2) 가톨릭교회의 논의 = 37

    3) 불교계의 논의 = 38

    4) 이슬람의 논의 = 39

    2. 안락사에 대한 종교계의 태도 = 41

    1) 안락사를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 = 41

    2) 안락사를 소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 및 소극적으로 반대하는 입장 = 47

    3) 안락사를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입장 = 53

    3. 안락사에 대한 종교적 태도의 유형화 및 종교적 신념과의 관계 = 69

    Ⅳ. 결론 = 75

    참고문헌 = 7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2011  8083
    6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7
    6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27
    60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80
    »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40
    58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5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3
    5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09
    55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4  1135
    5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5
    5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21
    52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윤정 2013  680
    51 20 죽음과 죽어감 ‘업무로서 행해지는 자살방조’의 범죄화 / 김성규 2017  677
    5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664
    4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김은철, 김태일 2013  663
    48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2000  645
    4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4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2004  636
    45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5
    4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