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199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3549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A) Christian Feminist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Aging Issue


  • 저자 : 이승리
  • 형태사항 : v, 120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112-11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기독교학과 1997. 8
  • KDC : 234.1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1997
  • 주제어 : 노인문제, 기독교, 여성윤리, 효사상




초록 (Abstract)

한국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경제 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년기를 보내는 노인의 숫자가 늘어나고, 개인마다 노년기가 길어지는 추세에 있어서 우리나라도 선진국형 인구분포를 보일 날이 머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현실 역시 부정할 수 없다. 과거 농경사회의 대가족제도 하에서는 강력한 '효'사상이 노인문제의 발생 원인을 억제시킬 수 있었으나, 산업사회로 들어오면서 빠르게 진척된 핵가족화와 도시화로 인해 노인문제는 더이상 '가정 내의 문제'로만, 곧 '불효의 문제'로만 돌릴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떠오르고 있는 노년층의 각종 문제들, 이를테면 가정과 사회에서 노인의 설 자리가 축소되고 소외감이 가중되며 귀찮은 '짐짝'같은 존재로 전락하여, 안락사나 자살, 가출과 같은 극단적 방법을 택하는 노인의 수가 점점 많아지는 현실은 새삼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반증한다.
여기서 우리는 현대의 노인문제가 좀더 폭넓은 차원의 사회적 문제임을 직시해야 한다. 인간의 '늙음'에 대한 사회적 거부와 생산성·효율성을 인간 존재의 가치 척도로 삼는 물질만능주의적 세계관, 그리고 이기심에 근거한 서구 개인주의의 보급 등이 노인문제의 배경에 자리잡고 있다.
본 논문은 노인문제를 현대 사회의 병적 징후로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과제야말로 우리 사회의 건강성 회복의 지름길이 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노인문제에 대한 수많은 논의들은 대개 전통적인 '효'사상의 복원을 주장한다. 효사상의 퇴색으로 가정과 사회의 도덕적 파탄이 야기되었으니 효만 회복하면 노인문제는 자연히 해결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위 복고주의자들은 '효'의 주체가 결국 여성으로서, 특히 며느리에게 떠맡겨진 과중한 책임이었음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효'의 강조는 노인 부양의 과제를 국가와 사회가 나누어 지기는 커녕, 가정 내의 사적 부양으로 못박으려는 이데올로기의 형태를 띄고 있어서 핵가족 시대의 여성들에게 이중 삼중의 부담을 안겨준다. 그러므로 의무론적 차원에서 강조되던 '효'를 이제는 공적부양의 구조로, 또한 효의 대상과 주제가 서로 나누는 관계적 상호애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공적 부양이라 함은 정의의 윤리가 요청하는 것이고, 관계적 상호애라 함은 돌봄의 윤리의 내용이다. 이렇게 재해석된 '효'는 전통적인 기독교에서 가르쳐온 자기포기나 희생의 윤리가 아닌, 서로를 돌보는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으로서 생명을 살리는 힘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효'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함에 있어서 기독교 사회윤리의 분석과 여성윤리의 내용에 의지하는 한편, 그 틀로는 월터 뮬더(Walter G. Muelder)의 책임사회 이념에 기초한 '인격적 공동체주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책임사회는 자연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책임있는 설계에 의해 형성되는 책임가족 위에서만 건립되며, 책임가족은 인격적 공동체주의가 최초로 실험되고 구현되는 장(場)이다. 가정과 교회, 그리고 사회속에서 노년의 시기를 자연스러운 삶의 한 과정으로 인식하고, 모든 인간의 '늙을 권리'를 지지해 주는 인격적 공동체가 확산될 때, 우리 사회의 인간 소외현상의 하나인 '연령차별주의'(Ageism)는 비로소 종식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52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도 및 현황/최영순 2014  80
651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연방의사협회 죽음의 동행 원칙 / 이석배 2017  80
650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2017  81
6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대리인 지정제도 도입방안 모색 / 김보배 외 2018  83
648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임종진료에 대한 태도 - 안락사를 중심으로 1999  85
64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양정연 2013  89
64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이정임 2011  90
645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 안병하 2018  90
64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 · 질병없는 미래를 꿈꾼다 ·· 바이오신약 / 장인진 2004  91
64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적 허용여부 논의를 위한 한국적 논의 모형 제안 2000  93
64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향한 불편한 시선, 존엄한 죽음을 말하다 / 하정화 2017  93
64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 여부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김학태 2008  94
640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
639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4
63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63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6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63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96
634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633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