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26967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The Euthanasia from the Viewpoint of Ethics


  • 저자 : 정혜련
  • 형태사항 : 41 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권용혁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 2007. 2
  • KDC : 195
  • DDC : 174
  • 발행국 : 울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안락사, 안락사 찬성, 안락사 반대, 호스피스, Living Will 운동, Ethics



초록 (Abstract)

과학의 발달과 함께 진행되어온 의료 기술의 발달은 과거에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던 대부분의 질병을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생명 과학과 의학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여전히 늙고, 병들어 고통스럽게 죽음을 맞이한다. 의학적으로 해결해내지 못하는 질병과 고통들을 안락사라는 자연스럽지 못한 죽음을 원하게 만들었다. 회복될 수 없거나 불치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하여 환자의 죽음을 유발시키거나 허용하는 관행이나 행위를 의미하는 안락사는 고대로부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술되어져 왔고, 최근에는 네덜란드, 스웨덴 등의 서구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적으로 제도화되기에 이르렀다.
안락사 문제는 뇌사 판정과 장기 이식의 필요와 맞물려 많은 논쟁을 낳고 있다. 안락사의 도덕성 문제에 대한 쟁점은, 안락사 시술의 의도가 남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순수한 마음이라 하더라도, 과연 생명을 인위적으로 종식시켜가면서까지 고통을 덜어주려는 것이 과연 도덕적으로 옳은가 하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안락사 개념의 모든 의도와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안락사 시술의 엄격한 기준은 결정되어야 한다. 안락사 시술의 결정은 오직 환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논의되고 결정되어야 하고, 오진이나 오판의 경우를 막을 수 있는 적절한 구조적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안락사의 대안으로서의 호스피스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발전시키며, 호스피스 활동의 범위와 영역을 전문화시키고 확장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말기 환자의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한 의료적 연구와 신경정신학적 연구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하고, 그 가족을 위한 사회적 배려의 방법도 강구되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12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경아 외 2016  51
7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 최명주 2008  52
71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의 주관성 연구 / 심형화 2011  52
709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과 연명의료결정법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 / 김순용 2018  52
70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과 일차의료 / 조동찬 2017  52
707 20 죽음과 죽어감 End-of-Life Care in Taiwan from the Perspectives of Asian Bioethics / Michael Cheng tek Tai 2017  53
706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치료 결정에 있어서 그리스도교 바탕의 온정적 간섭주의 의사 환자 관계 / 오승민 2012  53
705 20 죽음과 죽어감 죽어감(dying)에서 노인여성의 위치와 의존에 관한 연구 / 이동옥 2008  53
70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 말기암환자를 중심으로 / 박수경 2017  53
70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성 개념의 명료화를 통한트랜스휴머니즘의 비판적 고찰 / 정연재 2015  54
70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김재휘 외 2015  54
70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은 사람의 마음 / 김의선 외 2018  54
700 20 죽음과 죽어감 생사학적 관점에서 본 “좋은 죽음” / 김명숙 2015  55
699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논의와 내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이동익 2008  56
69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697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69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69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와 미국 판례이론의 비교 연구 / 황도수 2013  60
69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 유권종 2008  61
69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보험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이성남 2018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