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장례문화학과 장례문화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294058 

安樂死에 대한 浦項 地域民의 認識度 = Attitudes of Residents in Pohang Region towards Euthanasia


  • 저자 : 이상은
  • 형태사항 : 125 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김동훈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장례문화학과 장례문화 2008. 2
  • DDC : 211.6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안락사, 포항, 인식도



초록 (Abstract)

  • 최근 발전된 의료기술은 인간에게 생명연장과 건강한 삶에 대한 희망을 가져다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치료 불가능한 말기의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병마의 고통을 경감시켜주지 못한 채, 무의미한 생명연장만을 안겨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가족들에게 경제적, 육체적 및 정신적으로 많은 고통을 안겨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사회적, 윤리적, 제도적인 장치들 중에, ‘안락사’는 매우 첨예하게 논의되고 있는 쟁점 사항이다.
    네덜란드를 포함한 일부 국가들은 안락사에 대해 법적 규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이행되고 있으며 말기성 중병으로 많은 사람이 고통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안락사에 대한 법체계를 갖추지 못하였다. 더욱이 안락사에 대하여 조사 또는 연구한 예가 많지 않고 그 결과간의 편차도 심하였다. 일부 특정 종교인들은 일반인에 비해 낮게 찬성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윤리적, 종교적 이유로 반대하였다.
    본 연구는 안락사에 대하여 포항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과 승려들이 어떠한 인식을 취하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안락사에 대한 핵심 문제들에 대해 그들의 입장에 근거하여 고찰하여 봄으로써, 고통스럽고 외롭게 죽음에 직면한 말기환자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편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7년 7월부터 9월까지 포항시 및 근린도시 흥해읍, 연일읍에 거주하는 승려 44명을 포함한 20세 이상의 주민 남녀 553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논문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기본 문항과 자체적으로 고안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x2-test, 문항 교차 분석 등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의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락사에 대하여 543명(98.2%)은 이미 대중매체를 통하여 청취하여 인지하고 있었으며, 147명(26.6%)은 소생불가능한 환자를 경험해 본적이 있다고 하였다. 363명(65.6%)은 소생불가능 환자라도 우선 적극적 진료를 시행하겠다고 하였다.
    2. 혈연지간의 소생불가능 환자의 안락사 시행 의사에 대한 설문에서 158명(28.6%)이 적극적 안락사를, 234명(42.3%)이 소극적 안락사를 시행할 의사를 나타내어 총 392명(70.1%)이 안락사를 찬성하였다. 소생불가능 환자를 경험한 응답자 147명 중에서 96명(65.3%)이, 적극적 진료를 우선 시행하겠다는 363명 중 229명(63.1%)이 안락사를 시행할 의사를 나타내었다.
    3. 소생불가능한 불치병 환자가 안락사를 요구할 경우, 364명(65.8%)이 소극적 안락사를 수용하겠다고 하였고, 그 중에 251명(45.4%)은 적극적 안락사를 수용하겠다고 하였다. 소생불가능 환자를 경험한 응답자 147명 중에서, 90명(61.2%)이 소극적 안락사를 수용하겠다고 하였으며, 그 중 60명(40.8%)은 적극적 안락사를 수용하겠다고 하였다.
    4. 본인이 불치병 환자일 경우, 413명(74.7%)은 적극적 진료를 원하지 않았다. 특히 61세 이상의 응답자 10명 전원은 적극적 진료를 원하지 않았다. 또한 승려 44명 중 40명(90.9%)은 적극적 진료를 원하지 않았다. 소생불가능 환자를 경험한 147명 중에는 100명(68.5%)이 적극적 진료를 원하지 않았다.
    5. 안락사에 대하여 찬성의사를 나타낸 392명은, 통증을 포함한 참을 수 없는 신체적 증상 (40.9%), 삶의 의미 상실 또는 존엄성 상실(27.5%), 가족에 대한 부담이나 경제적 부담(26.5%) 때문에 찬성한다고 하였다.
    안락사를 반대하는 161명은, 비도덕적(34.2%), 생명존엄성의 훼손(29.2%), 소생가능성의 기대(19.3%), 종교적으로 반대(6.8%), 불법행위(0.6%)를 이유로 반대한다고 하였다.
    6. 안락사의 시행시기에 관한 설문에 특정한 기간을 정할 수는 없었지만, 1년의 경과 후(28.6%)에 안락사를 시행하는데 가장 많이 찬성하였다.
    7. 안락사에 관한 법을 제정하는데 500명(90.4%)이 찬성하였다.
    8. 승려들의 안락사에 대한 의견은 44명 응답자 중 37명(84.1%)이 찬성하여, 전체 안락사 찬성 비율(392명, 70.9%)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위의 결과를 요약해 볼 때, 포항지역 주민들은 안락사를 대중매체를 통해 이미 알고 있었고, 안락사에 대해 개방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승려들은 안락사에 대해 일반인들보다 개방적이며, 삶의 자연적 종말에 대해 가치를 두고 있었다. 매우 많은 응답자들이 자신의 불치병에 대하여 무의미한 생명연장에 의한 처치를 거부하였고, 안락사에 대한 적절한 법제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이 안락사는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이기 때문에, 고통스럽고 외로운 죽음에 직면한 말기 환자들에게 편안한 영면을 취할 수 있는 합법적인 길을 열어 주어야 할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7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2
    571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2
    57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6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56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4
    567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56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
    565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09
    56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09
    56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56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2
    561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56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55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558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5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55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555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고 / 김혁돈, 이재호 2019  480
    554 20 죽음과 죽어감 조력자살과 형법 - 안락사의 일 유형으로서의 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주희 2011  479
    55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