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 의료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253333 

심폐소생술포기(DNR)에 대한 간호장교들의 인식 및 경험조사 = (A)study of military nursing officers' perception and experiences on DNR


  • 저자 : 주명하
  • 형태사항 : vii, 7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하태훈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57-61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 의료법학과 2008.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초록 (Abstract)

DNR(Do-Not Resuscitate : 심폐소생술 포기)은 아직까지 우리에게 생소한 용어이다. 그 이유는 의료인이라 할지라도 병원마다 쓰는 용어의 차이가 있으며 병원의 규모나 수준에 따라 DNR에 대한 인지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민간병원의 DNR 결정환자들의 특성(고령으로 협심증, 뇌졸중, 암, 간질환, 말기질환 등)을 고려해 볼 때, 군병원 환자들의 경우, 대부분이 20대 초반으로 대상 질환에 대한 유병률이 낮고 비교적 젊어 군의료진에게 DNR 상황은 극히 드문 경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특성은 군병원 의료진 및 보호자에게 더 큰 부담과 윤리적 딜레마 상황으로 다가설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민간병원은 DNR 지침서 제정을 위한 기초조사연구가 몇몇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지침서를 활용하고 있으나 군병원의 경우, DNR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며 명확한 지침서도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군병원 간호장교들의 DNR 인식 및 경험을 묻는 기초조사연구로, 차후 군병원 DNR 지침서 마련과 우리나라의 DNR 법제화를 위한 작은 디딤돌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16개 전국 전․후방 군병원 및 2개의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장교였으며 2007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한성숙 외(2001)에 의해 개발되고 강현임(2003)이 수정․보완한 것을 개발자 및 강현임의 동의를 얻어 군병원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총 33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9문항, 인식 11문항(개방성 질문 2문항 포함), 경험 13문항(개방성 질문 3문항 포함)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인식, 경험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DNR 인식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DNR 경험의 차이, 대상자의 DNR 경험에 따른 DNR 인식의 차이는 Chi-Square 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NR의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80.2%는 시행경험이 없었고, 19.8%만이 시행경험이 있었으며 DNR 관련 교육도 29.4%만이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및 DNR 시행경험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간호장교의 85.7%는 DNR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필요 이유로는 편안하고 품위있는 죽음이 49.6%, 결국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 45.4%, 기타가 5.0%로 나타났다. DNR 의 결정은 누가, 어떤 형태로 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는 환자와 가족의 의지가 44%, 환자의 의지 34%, 가족과 주치의 합의가 17.3%, 기타 4.7%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요하지 않다’ 라고 답한 응답자의 주된 이유는 51.7% 가 ‘가능한 한 생명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의료인의 본분이기 때문에’ 라고 하였다. 한편 문서화된 지침서 제정에 대해서는 93.3% 가 ‘필요하다’라고 답하여 지침서 필요성에 대해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DNR 인식정도는 계급에서 결정주체 인식(χ²=17.213, p=.009)과 DNR 설명 필요성(χ²=9.125, p=.028)이, 결혼상태에서는 DNR 필요성(χ²=9.651, p=.008)과, 결정주체인식(χ²=9.460, p=.009), DNR 설명 필요성(χ²=3.911, p=.036), 가족시행가능성(χ²=12.918, p=.005)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육수준에서는 가족시행가능성(χ²=28.630, p=.000)이, 주특기 유무에서는 결정주체인식(χ²=11.773, p=.003), DNR 설명 필요성(χ²=6.131, p=.009)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상자의 CPR 경험유무에서는 DNR 필요성(χ²=3.766, p=.036)과 DNR 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χ²=11.274, p=.046)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DNR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험정도에서는 DNR 교육경험은 계급(χ²=21.500, p=.000), 결혼상태(χ²=6.647, p=.006), 종교(χ²=5.535, p=.012), 주특기(χ²=3.332, p=.042)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DNR 상황경험은 계급(χ²=20.563, p=.002), 결혼상태(χ²=10.652, p=.005), 학력(χ²=9.560, p=.049), 주특기(χ²=21.702, p=.000), CPR 상황경험(χ²=98.284, p=.000)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DNR 시행경험에 따른 DNR 인식정도에서는 DNR필요성(χ²=12.124, p=.000), DNR의 바람직한 결정자(χ²=7.569, p=.023), DNR설명후 요구도 증가(χ²=10.225, p=.006), 가족의 DNR 시행희망여부(χ²=27.886, p=.000), 자신의 DNR 시행희망여부(χ²=15.057, p=.001)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DNR 시행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시행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DNR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DNR설명후 요구도 증가, 가족의 DNR 시행희망여부, 자신의 DNR 시 ...(이하생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52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33
151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4
15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 이영옥 2012  536
149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9
14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1
147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2
14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3
14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14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6
143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7
142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7
14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48
140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0
13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51
13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3
13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조계화 외 2015  555
13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57
135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0
13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1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