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460625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저자 : 신현호
  • 형태사항 : xix, 20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배종대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192-20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06.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6




초록 (Abstract)

국가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바탕이 되는 생명보호 의무가 있다. 그러나 의료기술의 발달로 무의미한 생명연장 행위가 늘어나면서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와 자연사할 권리에 대한 법적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삶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에 있어서 스스로의 선택이 존중되어야 진정으로 인간의 존엄성이 최후까지 보장된다는 측면에서 국가의 대국민생명보호의무가 언제나 적극적이고 능동적일 수 없다. 더욱이 의사의 생명유지의무도 절대적이지 않다. 환자의 사기가 임박하였고 적극적 치료가 환자에게 고통만 주는 경우, 의사는 환자로 하여금 편안하게 삶을 정리하고 정신적 영적 삶의 마지막 성장 과정을 누릴 수 있도록 배려할 의무가 있다. 최근 활발히 논의되는 연명치료도 환자주권주의적 시각에서는 당연히 불법성이 인정된다. 따라서 해결방안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제시한다. 말기상태의 환자와 그 가족을 전인적으로 돌보는 비의료적 치료프로그램인 호스피스 케어(Hospice Care)와, 말기의 극심한 육체적 통증을 완화하는 의학적 치료인 완화의료가 인간다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하는 말기의료의 새로운 형태이며, 결국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하고, 삶의 마지막 단계에서 정신적 영적 성장을 위한 치료의 하나이다. 호스피스 완화의료는 환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말기환자는 회복가능성이 희박한 경우에도 연명치료나 적극적 치료를 선택할 수 있고, 적극적 치료를 중지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선택할 수도 있다. 먼저 연명치료를 선택하여 치료중이라도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의하여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선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중에라도 적극적 치료 내지는 연명치료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무의미한 집착적 의료행위가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의사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따라 호스피스 완화의료로 전환을 하여도 책임이 없도록 법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전환에 필요한 구체적인 조건과 절차를 분명히 해야 한다. 우선 의사의 충분한 설명과 환자의 진지하고 반복된 명시적 요청이 있어야 한다. 만약 환자가 명시적 의사결정을 못하는 경우, 추정적 의사를 인정할 수 있고, 이때 환자의 사전의사결정이나 대리인의 결정이 요구된다. 또한 국가호스피스 완화의료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오남용을 막고, 일정 병상 수 이상의 병원은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윤리위원회를 두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심의, 자문 등을 하도록 하며, 우리 실정에 맞는 입법안을 제시함으로서 자연사에 대한 절차적 보장을 통하여 생명권, 인간의 존엄과 가치권이 더 보호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말기의료의 문제는 기본적으로 노인개호보험과 같은 보건의료복지제도의 문제, 심리상담치료체제의 정비, 호스피스 제도의 정비라고 하는 제도적 문제와도 깊이 관련되기 때문에 호스피스법제정과 함께 관련 의료제도에 관한 사회적 합의가 시급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신현호 2006  245
67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2009  681
67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48
66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포기(DNR)에 대한 간호장교들의 인식 및 경험조사 / 주명하 2008  632
668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2007  589
66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2011  875
666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6
665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2000  643
664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2014  778
663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김희경 2003  2521
66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66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4
66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2006  1246
65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17
65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68
65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65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의 치료중단 특성과 주간호제공자의 경험 / 김정희 2003  364
65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2004  636
654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6
653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