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079268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기타서명 : An ethnography on joys and sorrows of nurses caring for DNR patients in ICU

  • 저자 : 김현아
  • 형태사항 : x, 123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귀분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106-11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13. 2
  • DDC : 612 2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3




초록 (Abstract)

현대의료체계 및 의료기술 발달은 인간에게 질병관련 치유 율 향상으로 귀중한 생명을 보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 경우에 따라 무의미한 생명 연장으로 환자나 가족으로 하여금 많은 갈등과 손실, 그리고 고통을 안겨 주게 되며, 특히 환자의 경우 자신의 평화로우면서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하기도 한다.
실제 우리나라의 경우, DNR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환자가 직접 참여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의사의 권고 하에 보호자가 참여하고, 간호사는 전혀 역할이 없거나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가족 중심 DNR 의사결정은, 곧 한국의 사회문화적 정서가 유교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어 자아의 기본 단위가 개인 한 사람이 아니라 가족 중심이고, 모든 가치와 판단이 가족과 관련되어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고려할 수 있는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의 애환의 의미를 규명하고 기술, 설명 및 이론적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양질의 간호를 위한 간호학적 접근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정보제공자는 중환자실 DNR 환자를 돌본 경험이 있는 12명으로 자료 수집을 위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1년 10월부터 자료가 완전포화상태에 이른 2012년 10월까지 시행하였다. 면담의 간격과 횟수는 한 정보제공자당 2주일에 1회로 자료의 포화상태를 위해 1인당 만남 횟수를 정하지 않았으며 면담 시간은 1회 평균 1시간 내외로 소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이 지닌 의미 구조의 문화적 중심주제는 『정립되지 않은 생 윤리』로 여기에 속하는 범주는 「DNR 기준 체계의 부재」, 「DNR 교육 체계의 부재」, 「DNR 정보 체계의 부재」, 「DNR 인식 체계의 부재」, 「의료인의 생 윤리 부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다음 문화적 주제는 『전문성 상실』로 이에 대한 범주는 「두려워하는 마음」, 「연민에 휩싸이는 마음」, 「무성의한 행태에 대한 자기반성」, 「무책임한 행태 변화」, 「탈 인간화 되는 마음」, 「거침없이 수용하는 행태」, 「생명에 대한 고귀성을 잃어가는 마음」, 「수동적 전문 역할에 대한 딜레마」의 범주로 확인되었다.
3. 다음 문화적 주제인 『미흡한 DNR 체계』는 「생명의 존엄성이 배제된 행태」, 「신중성이 배제된 의료행태」, 「비인격적 의료행태」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4. 다음 문화적 주제는 『인간존엄성 상실』로 「인간존엄이 보장된 죽음 부재」의 범주가 확인되었으며
5. 끝으로 문화적 주제는 『전문직 자긍심』으로「최선의 조력자 역할수행」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얻어진 결론은,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은 간호인으로서 해결할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제도적 환경 하에, 너무나 커다란 애환을 체험하고 있다. 따라서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이 자신의 삶을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전문직 인으로서의 자긍심을 향상시켜주어, 자신의 역할을 잘 감당하는 최상의 간호 서비스 제공자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Ⅱ. 문헌고찰 6

    1. 한국문화에서의 중환자실과 DNR 환자 6

    2.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 12

    Ⅲ. 연구방법 16

    1.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선정의 정당성 16

    2. 연구참여자 선정 18

    3. 연구자 훈련과정 19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20

    5. 자료 분석방법 21

    Ⅳ. 연구진행 과정에 따른 윤리적 고려 23

    V. 연구결과 25

    1. 정보제공자의 개별적 소개 25

    2. 중환자실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의 의미 30

    VI. 중환자실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 기술적 의미 65

    1. 중환자실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의미구조 기술 65

    2. 중환자실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비교 문화적 검토 88

    3. 중환자실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이론적 모형 97

    4. 중환자실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간호중재방안 100

    VII. 결론 및 제언 102

    참고문헌 106

    영문초록 119

    연구 참여 동의서 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7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2013  945
    67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2019  916
    670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899
    669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892
    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박상은 2018  891
    66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정 2016  883
    66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2013  876
    66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6
    66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2011  875
    66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8
    66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49
    66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38
    »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현아 2013  837
    65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24시간 동안 진통제 사용의 분석 : 내과의사와 외과의사의 비교 / 최윤선 외 1998  800
    658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3
    65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감소를 위한 마약성 진통제 사용의 제도적 개선 방안 / 김승옥 2006  784
    656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2014  778
    655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6
    65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65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 일부종합병원 중심으로 / 전명희 2008  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