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조선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655404 

존엄사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 A Study on the Death with Dignity


  • 저자 : 손수지
  • 형태사항 : vii, 89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김종구
    참고문헌 : p.83-8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2. 2
  • DDC : 346.0323 21
  • 발행국 : 광주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2



목차 ( Index )

ABSTRACT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제2장 존엄사 및 연명치료중단과 안락사의 비교 5

제1절 존엄사와 연명치료중단의 개념 5

1. 존엄사의 개념 5

2. 연명(延命)치료중단의 개념 7

제2절 안락사와의 비교 9

1. 안락사의 개념 10

2. 안락사의 유형 12

3. 존엄사와의 구별 16

제3장 존엄사에 대한 판례 및 가칭「존엄사 법안」의 내용 19

제1절 외국 판례의 고찰 19

1. 미 국 19

2. 독 일 22

3. 네덜란드 25

4. 일 본 28

5. 소 결 32

제2절 우리나라 판례에 대한 고찰 33

1. 속칭 보라매병원 사건 33

2. 속칭 인공호흡기 제거 청구사건 35

3. 소 결 39

제3절 가칭「존엄사 법안」의 내용 41

1. 제안 이유 41

2. 주요 내용 41

제4장 연명치료중단 45

제1절 논의의 기초로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45

1. 생명권 45

가. 생명권의 의의 45

나. 기본권으로서의 생명권 47

다. 생명권의 내용 48

2. 자기결정권 49

가. 자기결정권의 의의 49

나. 자기결정권의 근거 50

3. 소 결 55

제2절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 56

1. 의사의 의료행위의 정당화 요건충족 57

가. 의사의 의료행위의 허용요건 58

나. 의사의 행위의 작위-부작위 판단 61

2. 치료의 의학적 무의미성 및 회복 불가능성 64

가. 치료의 의학적 무의미성 판단기준 64

나. 회복 불가능성 67

다. 대상 환자수준(상태) 68

라. 의사의 설명의무 및 내용 71

마. 환자의 명확한 의사표시 73

3. 소 결 80

제5장 결 론 81

<참고문헌> 8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1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이지은 2015  100
111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99
110 20 죽음과 죽어감 도덕적 이슈에 관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과 정책과정 분석 -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 / 하은희 외 2018  99
109 20 죽음과 죽어감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 유은영 외 2017  99
10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의 의미 / 정복례 외 2017  99
107 20 죽음과 죽어감 사이버보안 특집 : 연명치료의 중단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2011  98
106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거부권, 죽을 권리 및 존엄사에 대한 재검토 / 노동일 2009  98
10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 김미혜 외 2010  98
104 20 죽음과 죽어감 세계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 비교 / 아태연구 2013  98
103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이용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료비 / 신정원 2019  98
102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98
101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100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99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7
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9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9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96
9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94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5
9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 여부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김학태 2008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