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080351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


  • 저자 : 구종모
  • 형태사항 : vi, 64 p.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변영순
    참고문헌: p. 41-4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2013. 2. 졸업
  • DDC : 60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3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2년 10월 8일부터 10월 19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 중...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2년 10월 8일부터 10월 19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 도구는 오순옥(2010)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AS 9.1.3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방법과 t-test, χ²-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9.0세였고, 간호사 근무경력은 평균 6.1년이었다. 가족의 임종경험이 없는 경우가 70명(62.0%)이었고, 연명치료중단 처방수행 경험이 있는 경우가 73명(64.6%)이었다. 57명(50.4%)이 사전의료지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었고, 109명(96.5%)이 ‘말기환자에게 사전의료지시를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111명(98.2%)이 ‘환자나 보호자에게 연명치료중단 및 사전의료지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하였다.
    2. 대상자의 사전의료지시 인식은 다음과 같다. 본인이 대상자인 경우 진통제 투여는 110명(97.3%), 정맥주사는 100명(88.5%), 위관영양은 89명(78.8%)이 원하였다. 가족이 대상자인 경우 진통제 투여는 108명(95.6%), 정맥주사는 102명(90.3%), 위관영양은 96명(85.0%)이 원하였다. 진통제 투여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가족의 경우 본인의 경우보다 연명치료에 동의하는 빈도가 더 높았다(p<.001).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지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연령이 많은 간호사는 수혈 이외의 모든 문항에서 가족의 연명치료에 동의하지 않았다. 간호사 근무경력이 많은 집단은 본인이 대상자일 경우 중환자실 치료에 유의하게 동의하지 않았고(t=3.000, p=.003), 가족이 대상자일 경우 진통제 투여(t=2.620, p=.010), 심폐소생술(t=2.470, p=.015), 단순 검사(t=2.370, p=.030), 항생제(t=2.010, p=.047), 수술(t=2.140, p=.034), 중환자실 치료(t=2.060, p=.042)에 동의하지 않았다. 중환자실 근무경력이 많은 집단은 본인이 대상자인 경우 심폐소생술(t=2.310, p=.023), 산소공급(t=2.820, p=.006), 중환자실 치료(t=2.790, p=.006)에, 가족이 대상자인 경우 심폐소생술(t=2.720, p=.008), 수술(t=2.460, p=.015)에 동의하지 않는 빈도가 높았다. 가족의 임종경험이 없는 집단은 가족이 대상자인 경우 심폐소생술(χ2=5.061, p=.015)에 동의하지 않고, 단순 검사(χ2=4.532, p=.037)에는 동의하는 빈도가 높았다.
    이상으로 중환자실 간호사는 사전의료지시에 대해 50% 이상이 들어본 적이 없어 사전의료지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령, 간호사 근무경력, 중환자실 근무경력, 가족의 임종경험에 따라 사전의료지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3

    Ⅱ. 문헌고찰 4

    A. 연명치료중단 4

    B. 사전의료지시 9

    Ⅲ. 연구 방법 14

    A. 연구 설계 14

    B. 연구 대상 및 윤리적 고려 14

    C. 연구 도구 15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17

    E. 자료 분석 17

    F. 연구의 제한점 1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B. 연명치료중단 관련 특성 21

    C. 대상자의 사전의료지시 인식 26

    D.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지시 인식 30

    Ⅴ.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40

    참고문헌 41

    부록 50

    Abstract 6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7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 심세화 2016  364
    47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문노을 2014  361
    47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469 20 죽음과 죽어감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신교남 2018  355
    4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3
    467 20 죽음과 죽어감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응답 /백충현 2018  351
    46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0
    465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역할인식, 간호스트레스 및 태도 / 이수정 2016  349
    46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사례비교 및 존엄사의 정당화 가능성 연구 : 故 김수환 추기경과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혁남 2010  349
    46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이백휴 2010  348
    462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48
    461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
    46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 점승헌 2013  345
    459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의 태도: 완화적 진정을 중심으로/오승민 외 2016  345
    45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4
    45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4
    »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 / 구종모 2013  342
    45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환자 가족의 역할: 말기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장원경 외 2015  342
    45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변호사들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이경남, 김분한, 이훈희 2010  342
    4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하명옥 2010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