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수사과학대학원 법의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56257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 Euthanasia of Clinical Nurse’s


  • 저자 : 이윤정
  • 형태사항 : 48, ii, 7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나연경
    참고문헌: p. 43-4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수사과학대학원 법의간호학과 2013. 8
  • DDC : 614.1 22
  • 발행국 : 대구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3
  • 주제어 : 간호사, 생명의료윤리, 안락사




초록 ( Abstract )

  •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평균 평점은 2.94점이었으며, 안락사에 대한 태도의 평균 평점은 2.83점이었다. 하위영역별 점수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태아의 생명권 영역이 3.36점으로 가장 높았...
  •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평균 평점은 2.94점이었으며, 안락사에 대한 태도의 평균 평점은 2.83점이었다. 하위영역별 점수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태아의 생명권 영역이 3.36점으로 가장 높았고, 장기이식 영역이 2.25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대상자의 권리 영역이 3.25점으로 가장 높 았고, 생명존중 영역이 2.2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에서는 연령, 최종학력, 근무경력, 직 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서는 연령, 근무경력, 직위, 생명 의료윤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명의료윤리 의식 하위영역 중에서 인공임신중절, 신 생아의 생명권, 안락사 부분에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인간생명공학과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생명의료윤리 의식 연구와 안락사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간호사뿐만 아니라 의료를 행하는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안락사에 대한 반복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조사한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측정도구 모두 신뢰도 계수가 낮았으므로 객관적이고 타당성 높은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간호사들의 올바른 윤리관 확립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목차 ( Index )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목적 4

    용어의 정의 5

    이론적 배경 7

    생명의료윤리 의식 7

    안락사에 대한 태도 14

    연구방법 20

    연구 설계 20

    연구 대상 20

    연구 도구 20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21

    자료 분석 22

    결 과 2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2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 2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락사에 대한 태도 30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 36

    논 의 37

    결론 및 제언 41

    참고문헌 43

    영문초록 i

    부 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2 20 죽음과 죽어감 ‘업무로서 행해지는 자살방조’의 범죄화 / 김성규 2017  677
    »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윤정 2013  680
    9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2009  681
    89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의 심리적 억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균 2015  711
    8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개념과 분류 / 구영모 2005  715
    8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31
    86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85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연구 / 안모원 2018  742
    8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51
    83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53
    8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2013  754
    81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8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 일부종합병원 중심으로 / 전명희 2008  763
    7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78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7
    77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2014  778
    7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감소를 위한 마약성 진통제 사용의 제도적 개선 방안 / 김승옥 2006  785
    75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3
    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24시간 동안 진통제 사용의 분석 : 내과의사와 외과의사의 비교 / 최윤선 외 1998  800
    73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현아 2013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