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39867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hospital outpatients and caregivers


  • 저자 : 이선화
  • 형태사항 : 73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규은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관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 2
  • 발행국 : 강원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초록 ( Abstract )

  • 국 문 초 록 20세기 이후 과학기술과 현대의학의 급격한 발전은 인간의 건강수준 향상과 평균수명 연장의 효과를 가져왔지만 최근에는 연명치료를 통한 인위적 생명연장과 인간으로서의 ...
  • 국 문 초 록

    20세기 이후 과학기술과 현대의학의 급격한 발전은 인간의 건강수준 향상과 평균수명 연장의 효과를 가져왔지만 최근에는 연명치료를 통한 인위적 생명연장과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잃지 않은 존엄한 죽음에 대한 주장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존엄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대두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사전의료의향서이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관련요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 의사결정을 도모하고 사전의료의향서의 활용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I시 S종합병원 외래환자 및 보호자로 2013년 10월 14일부터 10월 27일까지 설문지 300부를 배부하여 이중 268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 응답을 한 5부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은 263부였다.

    연구도구에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사전의료의향서 문서관련 지식 측정도구를, 사전의료의향서의 인식 및 태도는 Akabayashi, Slingby 및 Kai (2003)가 개발하고 김수현(2010)이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건강상태는 Speake, Cowart 와 Pellet (1989)가 개발하고 황미혜(2000)가 번역한 것을, 가족기능은 Smilkstein (1978)이 개발하고 김옥수와 백성희(2003)가 수정‧보완한 것을, 종교참여도는 Ainlay와 Smith (1984)가 개발하고 김수연(198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ANOVA, ANOVA의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점수는 6.85(±2.10)점 , 지각된 건강상태는 3.04(±0.82)점이었고, 종교참여도는 30.82(±15.54)점, 가족기능 은 6.70(±2.75)점 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및 태도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 한 인지에서 72.7%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해 모른다고 답하였고, 사전의료 의향서에 대해 93.2%가 찬성한다고 답하였으며, 작성 시기에 대해서는 ‘건 강한 상태로 정기검진을 받을 때’가 59.3%로 가장 많았으며, 치료에 대 한 최종 결정자는 ‘본인’이 85.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작성의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54.0%가 ‘작성 하겠다’고 답하였다.

    3) 연구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학력(F=3.58, p=.02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지여부는 연령(χ2=30.11, p<.001), 학력(χ2=8.24, p=.015), 종교유무(χ2=10.10, p=.001), 결혼상태(χ2=8.72, p=.004), 자녀유무(χ2=5.11, p=.025)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찬성여부는 종 교유무(χ2=6.85, p=.01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는 종교유무(χ 2=15.5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연구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제변수와의 상관관계는 사 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종교참여도(r=.13, p=.040), 가족기능(r=.14, p=.021)은 약한 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6) 연구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지정도는 종교참여도(t=4.46, p<.001)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찬성여부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t=3.73, p<.001), 지각된 건강상태(t=2.42, p=.016)에 따라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F=12.88, p<.001), 종교참여도(F=4.67, p=.010), 가족기능(F=3.19, p=0.43)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지정도는 낮았고, 설명을 들은 이후 사전의료의향서 제도에는 찬성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으나 작성의지는 절반 정도의 수준이었다. 따라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을 통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해서 정부차원의 홍보물 제작, 여러 병원에서의 제도 도입, 의료인의 전문교육 등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에는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교참여도가 높을수록 사전의료의향서의 인지수준이 높아졌으며,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찬성율이 높았다. 따라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영향하는 관련변수 탐색을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 Index )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II. 문헌고찰 8

    1. 사전의료의향서의 의미와 배경 8

    2.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13

    3. 사전의료의향서의 지식, 인식 및 태도와 관련변수 15

    III. 연구방법 21

    1. 연구 설계 21

    2. 연구 대상 21

    3. 연구도구 22

    4.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24

    5.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4

    6. 자료 분석 방법 25

    7. 연구의 제한점 25

    IV. 연구결과 2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2.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지각된 건강상태, 종교참여도, 가족기능 28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사전의료의향 서에 대한 인식 및 태도 33

    4.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지각된 건강상태, 종교참여도, 가족기능 간의 상관 관계 38

    5.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따른 사전의료의 향서에 대한 지식, 지각된 건강상태, 종교참여도, 가족기능의 차이 39

    V. 논 의 41

    VI.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4

    Abstract 65

    부 록 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52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사회와 죽음교육의 사회학 / 서이종 2016  131
    551 20 죽음과 죽어감 흥행영화와 죽음 : 2000년대 전반기 한국 흥행영화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의미작용 / 서곡숙 2009  131
    550 20 죽음과 죽어감 영상미디어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와 교육적 대안 2010  132
    54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사망과 임상 위험요인과의 관계: 지역 코호트 연구 / 강영미 외 2017  132
    54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과 신학적 윤리 / 이창호 2019  132
    547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강보람 2016  133
    546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545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안영 외 2017  133
    54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2005  134
    543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박형욱 2017  135
    542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행위에 대한 의료형법적 고찰 :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 사례를 중심으로 / 조인호 2008  135
    54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최금희 외 2018  135
    540 20 죽음과 죽어감 인지면담을 이용한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모델 개발 / 김신미 2013  136
    539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에 존엄사를 위한 존엄치료의 역할 / 김유숙 2017  136
    538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53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결정에서 의료의 한계/안용항, 김혜정 2010  137
    53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과 유보 결정에 대한 한국 중환자 전담의사 인식과 실행/김소윤 외 2009  138
    535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조윤경 2017  138
    534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39
    5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게 자원봉사를 제공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석준 외 2017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