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10254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The Proposal of Advanced Directives


 

 

해당자료는 연구원, 도서관내에서 무료로 이용가능합니다.

 

 

 

 

목차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말기환자의 치료와 현실
  • III.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사전의사지시서 혹은 사전의료의향서
  • I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  

     

    초록

  • 과학의 발전과 새로운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이전에 치료법이 알려져 있지 않은 만성질환-즉 고혈압, 당뇨, 암 등을 지닌 환자에게 의학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되어 삶의 질을 높이고 생명을 연장하게 되었다. 의료진은 심각한 질환에 알맞은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의료진은 환자의 원하는 점을 파악하고 이에 알맞고 가장 환자에게 알맞은 의료적 돌봄을 제공해야 한다. 사전의료의향서는 말기환자에 대한 돌봄을 결정하는데 의학적 윤리뿐만 아니라 법적인 요구를 감안하고 있다. 의료진은 심폐소생술, 수혈, 인공호흡기와 경구 혹은 정주의 영양 공급과 같은 연명치료와 관련되어 결정하기 위해서 환자와 그 가족들과의 대화기법과 지식을 충분하게 지녀야 한다. 또한 의료진은 환자에게 시행되는 의료행위는 정부에서 정한 법의 테두리 안에서 환자의 돌봄의 계획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한다. 말기환자의 치료에 대하여 광범위한 법적인 동의가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있지 않다. 말기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에게는 이러한 윤리적, 법적인 이해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인들이 시행한 의료행위는 법에 의해 보호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말기환자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를 허용하기 위하여 법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하며 구체적인 내용과 방식에 대한 합의가 정부와 전문가의 노력이 함께 필요할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 진료에 관한 연구 / 최윤선 외 1995  46
    11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 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상관성 / 박경란 외 2018  46
    10 20 죽음과 죽어감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15  45
    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7 20 죽음과 죽어감 When Is ``Dead'' Actually Dead? 2014  41
    6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 강승식 2013  37
    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과 가톨릭 교회 / 이동익 2018  36
    4 20 죽음과 죽어감 Support for Voluntary Euthanasia with No Logical Slippery Slope to Non-Voluntary Euthanasia / Daskal 2018  36
    3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5
    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최창익 2015  35
    1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의 날을 보내며 / 이동우 2018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