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4995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Current Research Trends in Hospice-Related Domestic Nursing Research Theses (1998~2017)

  • 저자[authors] 김원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2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9-2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In this study, the hospice nursing research trend in 1998~2017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research articles on hospice nursing. Methods: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with keywords of ‘nursing’ and ‘hospice on a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lso reviewed were all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and its 8 subcategory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the Korean Hospice Association from 1998 through 2017, except thesis papers. Results: In 2013~2017, 79 articles (31.0%) were relevant, up over 7% from 61 articles (23.9%) in 2008~2012. The most studied field was psychology (92 papers, 36.2%) in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nrolled in most papers were patients with end-stage cancer (75, 29.5%), which is overwhelmingly high. Most studies used quantitative methods (183, 72.0%). Recognition was the most studied theme (62, 24.4%), and 16 of them focused on recognition of death (6.3%). Intervention studies totaled 34 (13.4%), and most of them (7, 2.8%) were conducted for palliative education. Conclusion: Most hospice nursing studies were quantitative studies, conducted with patients, and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us, more studies with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re needed.  And more experimental and qualitative studies are needed to build an evidence-based nursing study environment. Considering how most studies examined psychological factors,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pain, a major issue in hospice care, should be analyzed in experimental studies to construct a pain interven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

국문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된 호스피스 간호연구논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주요 검색어는 ‘호스피스’, ‘간호’였으며(마지막 검색일: 2018 년 3월 30일) 검색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4u.net)를 통해선정되었으며, 더불어 한국간호과학회지 및 8개 분과 학회지와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와 한국호스피스협회지에 1998년부터2017년까지 게재된 논문 모두를 검토하였으며, 학위논문은 제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1998년부터 2002년에 51편(20.0%)이었던 논문이 2013년부터 2017년에는 79편(31.0%)으로 약 11% 이상 급증하였으며 호스피스간호 학문분야별로 심리학 분야가 92편(36.2%)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간호학 분야가 46편(18.1%)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별로 분석한 결과 말기암환자가 72편(28.3%)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외에 1편(0.4%)은 HIV 바이러스, AIDS 환자였으며 아동 말기암환자도 2편(0.8%)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는 183 편(72.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적 연구 22편(8.7%)으로많았다. 실험 중재는 총 34편(13.5%)으로 호스피스교육프로그램이7편(2.8%)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결론: 호스피스 간호연구의 대상자는 대부분 환자에 치중되어있었으며 소수 호스피스대상자와 가족대상자의 연구가 적어 소수의 호스피스대상자와 가족대상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향후 근거기반의 간호연구 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순수 실험연구와 질적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더불어 연구주제가 심리적 변수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호스피스대상자의 주요 간호문제인 통증 등의 생리적 변수를 적용한 실험 연구가 활성화되어 대상자의 통증중재프로그램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3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7
7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4
73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과 신학적 윤리 / 이창호 2019  132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39
7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72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0
72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3
725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44
724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97
723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2019  169
722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2019  67
721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41
72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역사 / 김창곤 2019  330
719 20 죽음과 죽어감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2019  149
718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53
717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박은철 2019  223
716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9
715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7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2019  6220
713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