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宗敎敎育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80922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Exploring the Organiz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Death Education Curriculum

  • 저자[authors] 문현공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宗敎敎育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7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종교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7-16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death education curriculum using mindfulness meditation. Mindfulness, like the MBSR program example, has proven its effectiveness in the medical and educational sectors. In this study, I have observed that ‘Mindfulness of Death(maraṇassati, MD)’ can be used as a teaching material for death education.  Also, I saw that ‘Mortality Salience(MS)’ of Terror Management Theory, in which death is active state in consciousness,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of death education contents.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curriculum structure by looking at examples of mindfulness applied education program and death education program. Mindfulness based death education curriculum should presuppose pedagogical view such as objectives of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evaluation.  I also observed that MD can be used as a tool to induce MS. MD, MS, and the contents of death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a series of sessions to examine changes of attitudes of life and possibility of acquiring correct acceptance of death. Finally, it reflect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suggestions, the mindfulness based death education curriculum should include definition of death, process of dying, view of philosophy and religion’s death, afterlife, grief education, and suicide.

국문 초록[abstracts] 
본 글에서는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한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음챙김은 MBSR의 예처럼 의료계, 교육계에서 그 효능을 입증 받고 있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maraṇassati)’이 죽음교육의 교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죽음이 의식 속에서 자각된 상태를 말하는 공포 관리 이론의 ‘죽음 현저성(mortality salience)’이 죽음교육의 구조에서 중요한 작용을 할 것임도 보았다.  그리고 본문에서는 마음챙김이 적용된 교육 프로그램과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예를 보면서 커리큘럼 구성을 탐색했다. 마음챙김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은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평가 등 교육학적 관점을 전제해야하며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은 죽음 현저성을 유발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도 살펴보았다.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과 죽음 현저성이 두 축을 이룬교육 커리큘럼은 회기의 진행을 통해 삶에 대한 태도 변화와 죽음에 대한 올바른 수용성 획득으로 유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의 연구와 제언들을 반영한 마음챙김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에는 죽음의 정의, 죽어감의 과정, 철학과 종교의 죽음에 대한 관점, 사후의 문제, 비탄(grief)교육, 자살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라 보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32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97
630 20 죽음과 죽어감 사이버보안 특집 : 연명치료의 중단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2011  98
629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거부권, 죽을 권리 및 존엄사에 대한 재검토 / 노동일 2009  98
62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의 의미 / 정복례 외 2017  98
62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 김미혜 외 2010  98
626 20 죽음과 죽어감 세계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 비교 / 아태연구 2013  98
62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이용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료비 / 신정원 2019  98
624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99
623 20 죽음과 죽어감 도덕적 이슈에 관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과 정책과정 분석 -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 / 하은희 외 2018  99
622 20 죽음과 죽어감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 유은영 외 2017  99
6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대국민 교육프로그램 개발 / 태윤희 2016  100
620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서비스가 말기암 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정현명 2009  100
619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현정 2017  100
61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이지은 2015  100
61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 선호도 / 조경희 외 2017  102
6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정미렴 2018  102
615 20 죽음과 죽어감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홍석영 2007  103
6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2011  103
613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안영 2018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