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論叢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0665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An Alternative Philosophy of the Zhou Yi 周易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 저자[authors] 안승우(An, Seung-W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論叢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5No.-[2019]

  • 발행처[publisher]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1-18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연명의료결정법,자기결정권,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금지(DNR),주역,생사관,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do-not-resuscitation (DNR),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Zhou Yi,a view of life and death


국문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의료기술이 발달하면서 등장하게 된 다양한 도덕적 문제 가운데 하나로, 회복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 결정 문제 및 최근 제정된 연명의료결정법 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명의료결정법 이 제정되기 이전 한국사회에서는 회복불가능한 환자의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를 가족이 결정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한국사회 특유의 유교적 정서로 논의되곤 했다. 연명의료결정법 의 등장 이후, 연명의료결정의 주요 주체는 환자 자신으로 전환되었으며 그 주요 근거는 자기결정권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사회에서 가족결정 중심의 심폐소생술 금지 논의에서 자기결정권 중심의 연명의료결정법 으로의 전환을 살펴보고, 자기결정권과 관련하여 보충되어야 할 논의들과 연명의료결정법 의 철학적 근거가 되어야 할 生의 문제, 죽음에 대한 관점 등을 『周易』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주역의 연대적 生철학, 죽음이 아닌 마무리지어가는 과정을 중시하는 終始에 기반 한 死生觀을 통해, 연명의료결정법 에 보완되어야 할 사유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problem of deciding to attempt CPR for patients who cannot recover and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of recently enacted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s the moral issues that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mostly family have decided whether to implement CPR on patients who were unable to recover, which was often discussed as unique Confucian sentiments that Korean society has had. After the advent of the law, the principal subject of the life-care decision has been switched to the patient himself, and the main reason for that i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conversion of the family-centered decision on CPR to the self-determination-centered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n Korean society, the issues to be supplemented in relation to self-determination, and perspectives on life and death for complementing to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law through the Zhou Yi 周易.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he law can be supplemented by the Zhou Yi’s philosophy, especially focusing on a sense of joint responsibility of sheng 生and a view of life and death based on the philosophy of zhongshi 終始that emphasizes the process of finishing, not death.

목차[Table of content]
[한글 요약]  Ⅰ. 머리말 ; 가족 중심의 심폐소생술 시행 결정에서 자기결정권 중심의 연명의료결정법 제정으로의 전환  Ⅱ. 자기결정권의 책임 문제와 『주역』의 연대적 生  Ⅲ. 자기결정의 속성 문제와 『주역』의 死生觀  Ⅳ. 연명의료결정법 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실천 방안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52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 / 조창운 2018  119
151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18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149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14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14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146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6
145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6
144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5
143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14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41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140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3
139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2
13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관한 연구 2010  111
13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2018  111
136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13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09
134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2010  108
133 20 죽음과 죽어감 의존상태 노인의 의료에서의 존엄 / 김도경 2014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