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웰니스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48331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Influencing factors on the Elderly's Preference in care near the end of life  – focusing on preparation for death and anxiety for death

  • 저자[authors] 김애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웰니스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4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웰니스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3-12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death preparation, and preference in care near the end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nd provide for influencing factors of the preference in care near the end of life . 204 elderly people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for this descriptive study during Sep. 11th, 2018 to Oct. 12th, 2018 and analyzed by stepwise regression methods using SPSS 23.0. The analysis found that the family decision factors were the highest among the care near the end of life preferences, followed by pain factors, decision-making by the medical personnel, and spiritual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least autonomous decis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preference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Age, bereavement, marital status, preparation of death, death anxiety, and good income level have important effects on autonomous decision-making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variables was 37.6 %. The decision-making factors by family members include death preparation, death anxiety, marriage and bereavement. The explanatory power of following variables was 52.1%. In deciding factors by medical personnel, preparation of death, anxiety of death, bereavement and marital status were important factor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2.4%.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nursing care and the need to take care after elderly when it comes to death by considering individuals’marital status, income levels, and by developing an efficient and systematic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 especially those with low preparedness for death and high anxiety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죽음불안, 죽음준비도 및 임종기치료 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임종기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 204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11일 부터 10월12일 까지 자료 수집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임종기 치료 선호도 중 가족 결정요인이 가장 높고 통증요인, 의료인에 의한 의사 결정, 영성요인 순 이었고 자율적 의사 결정요인이 가장 낮아 연명치료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율적 의사 결정요인에는 나이, 사별, 기혼상태, 죽음 준비도, 죽음불안, 좋은 소득수준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37.6%이었다. 가족에 의한 의사 결정요인에는  죽음 준비도, 죽음 불안, 기혼, 사별이 중요한 영향요인이며 설명력은  52.1%이었다. 의료인에 의한 결정 요인에는 죽음 준비도, 죽음불안, 사별, 기혼상태가 중요한 영향요인이었고 설명력은 42.4%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따라 결혼상태, 소득수준을 고려하고 특히 죽음 준비도가 낮고 죽음 불안이 높은 고령의 노인을 대상으로 임종기 치료 결정을 돕도록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죽음준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하여 임종기 치료 준비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3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4
2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은영 2018  154
230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3
22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3
228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
227 20 죽음과 죽어감 종합병원 간호사의 연명의료 결정과 관련요인 / 최유남 2016  152
226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225 20 죽음과 죽어감 자연스런 죽음을 맞이할 권리 확보 방안 고찰 :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법률 개정(안) / 이병철 2017  152
22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Advanced Directive /이영규 2017  152
223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시범사업 일당정액제 도입이 재원일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신지연 2013  151
22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김애리 2019  150
220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Specialist Palliative Care (SPC)가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주는 시사점 / 태윤희 2016  149
219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218 20 죽음과 죽어감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2019  149
217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은 과연 저항인가: 서구 저항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살행위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분석 / 이현정 2010  148
21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노쇠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적정의료에 대한 연구 / 김도경 2013  148
215 20 죽음과 죽어감 사례 중심으로 풀어보는 연명의료 / 이명아 2017  147
214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 안락사에 관한 국제법 및 비교법적 고찰 / 장복희 2011  147
21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