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 생사문화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2674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죽음의 인식변화 : 임종, 상장례 중심으로


  • 저자[authors] 정일련

  • 발행사항 서울 :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iv, 120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범수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 생사문화산업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Aging,low-birth rate,views on death,dying,funeral

  • 소장기관[Holding]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20)

  • UCI식별코드 I804:11020-000000078878


다국어 초록

The modern South Korean society is seeing a lot of changes in terms of the process into the final moments of the life, such as dying, hospice, and funeral due to the trend of nuclearization of the families, change in family relationship, increased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changes in the values for the futur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due to the increased life expectancy caused by aging is causing changes in the views on the preparation for death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Especially, the interest in the process of dying and funerals is exponentially increasing. 
The studies on the changes in the awareness on death caused by aging and low birth-rate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However, not so many of the preceding studies examine the topic of dying and funera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 attempted to examine the situations around the death of the members of the rapidly changing South Korea society, such as the dying, funeral process, views on the life after death, spiritual welfare, and readiness for death, through a survey, to identify the possible options we can take as we proceed into an aged society and induce a more developed awareness on death.
The study was focused on dying and funeral processe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views on death caused by aging and low birth-rat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ntitative method which surveyed the actual awareness of the respondents, who were composed of 302 ordinary citizens. 
According to the study, 92.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would not receive the life support treatment, while the place of dying was the hospital in 71.5% of the cases. And, 68.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decide the modes of their funeral processes for themselves. The analysis of the multiple replies given by the respondents who conducted a funeral within the past five years showed that 41.2% of them conducted the funeral at a charnel house while 14.1% answered they did so in the nature. 
Further survey on the funeral process showed that 50.3%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preferred the remains of the dead to be buried under or around trees, flowers, grass, while 57.9% also approved placing the remains after cremation in a charnel house. 34.8% answered that scattering the remains in the open would be more preferable. If the scattering of the ash in the open is developed into a more effective method accompanied by more promotion, it is believ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the issue of the significant amount of land being occupied by graves. 
As for the necessity for the education on the preparation for death, 38.1% answered they never thought about it, while 34.4 % agreed that such an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97.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never had an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hen asked with whom they talked about their death, 28.1% pointed to their family, while 26.2% answered their spouse. That is, according to the survey, it could be said that the awareness on death is limited to the family or individuals, rather than the socie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views on life after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mographic factors of the respondents, such as their gender, age, monthly income, quality of life, and factors like the place of dying, mode of funeral, views on death, views on life after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showed that the women preferred hospital over their home as their place of dying more than the men did. Also, the women were found to be at a higher state of spiritual well-being compared to the men, as well. As the age increased, they were more correlated with the charnel houses as their mode of funeral, while an older age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views on death. The researcher examined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terms of the views on life after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gender, age, monthly income, and quality of lif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gender, age, and quality of life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the gender, the women had a higher average value for the views on the life after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The age was correlated only to the spiritual well-being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er. 
Such a finding highlights the defect of the social system, which make them choose suicide as they believed their issues were for themselves, rather than a problem of the society in general, accompanied by economic hardship. In order to live a richer life in a healthy society, we need to enhance the awareness on death and education on this issue smoothly, through a window (for consultation) for the society to be involve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more windows to monitor, pay attention to, and provide consultation to the marginalized neighbors of ours through the local governments, etc.
Keywords: Aging, low-birth rate, views on death, dying, funeral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3
제2절 연구 범위 5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고령화 및 저출산 시대의 사회현상 7
1. 고령화 개념 및 현황 7
2. 저출산 개념 및 현황 17
3. 고령화 및 저출산의 문제점 22
제2절 현대인의 죽음 개념 및 죽음인식 25
1. 죽음 개념 25
2. 죽음에 대한 태도 28
3. 죽음 단계와 반응 32
4. 죽음 인식 변화 34
제3절 현대의 임종에 대한 태도 및 인식 변화 38
제4절 현대의 상장례에 대한 의식의 변화 42
제5절 현대인의 임종 및 장례 방식과 문제점 47
제3장 연구방법 54
제1절 표본 설계 및 분석방법 54
1. 표본 설계 54
2. 분석방법 55
제2절 설문지 구성 및 내용 57
제3절 연구가설 58
제4장 연구결과 59
제1절 인구학적 특성 59
제2절 임종에 대한 인식 62
제3절 장례에 대한 현황 65
제4절 상례(묘지 및 장사시설)에 관한 인식 68
제5절 죽음에 대한 인식 71
제6절 내세관, 죽음준비, 영적 안녕감에 대한 신뢰도 75
제7절 내세관, 죽음준비, 영적 안녕감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77
제8절 임종 시 진행 장소, 상례, 죽음에 대한 인식의 차이 분석 79
제9절 내세관, 죽음준비, 영적 안녕감의 차이분석 86
제5장 결론 및 제언 91
참 고 문 헌 100
ABSTRACT 109
<부 록> 설문지 1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김희경

발행년 2003 

  • 조회 수 253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발행년 2014 

  • 조회 수 1716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발행년 2007 

  • 조회 수 169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발행년 2004 

  • 조회 수 1643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83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6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5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0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발행년 2015 

  • 조회 수 1471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387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발행년 2003 

  • 조회 수 136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6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발행년 2011 

  • 조회 수 133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133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발행년 2010 

  • 조회 수 13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발행년 2003 

  • 조회 수 131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56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발행년 2006 

  • 조회 수 1246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발행년 2019 

  • 조회 수 1244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발행년 2011 

  • 조회 수 1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