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간호관리와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05748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Nurses' Role in Hospice Palliative Care Multidisciplinary Teams


  • 저자[authors] 김정영
  •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14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상희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간호관리와교육  2019. 2
  • DDC[DDC] 610.73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호스피스완화의료,다학제 팀,간호사,역할,인식,수행
  • 소장기관[Holding]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211046)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안에서 간호사 스스로가 인식하는 역할과 수행 정도 및 다학제 팀원이 기대하는 간호사의 역할을 파악함으로써 다학제 팀 안에서의 간호사 역할을 증진시킬 방법을 제시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제공의 질 향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병동형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91명과 다학제 팀원 43명으로,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연구자에 의해 재구성되어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사의 역할을 7가지 영역에서 총 4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총 134부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다.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사의 역할 인식에서는 전체평균 4.46±0.38점(5점 만점)으로, 교육자, 옹호자, 조정자, 실무 전문가, 상담자, 연구자, 질 관리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역할 수행 정도는 전체평균 3.60±0.60점(5점 만점)으로, 교육자, 옹호자, 실무 전문가, 조정자, 상담자, 질 관리자, 연구자 순서로 나타났다. 간호사를 제외한 다학제 팀 내에서 간호사의 기대 역할은 전체평균 4.09±0.40점(5점 만점)으로, 옹호자, 교육자, 질 관리자. 연구자, 조정자, 실무 전문가, 상담자 순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사가 인식하는 역할과 수행 정도의 차이에서 7가지 모든 영역에서 역할 인식이 수행 정도보다 높고 전체평균 0.86점이 높게 나타났다(t=14.986, p<.001). 간호사 역할 인식과 수행의 차이 중에서 연구자 역할(t=13.743, p<.001)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상담자(t=12.243, p<.001), 옹호자(t=12.325, p<.001), 질 관리자(t=10.051, p<.001), 실무 전문가(t=13.368, p<.001), 교육자(t=11.139, p<.001)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원이 기대하는 간호사의 역할의 차이에서 다학제 팀원이 기대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간호사가 인식하는 역할보다 전체적으로 평균 0.37점 낮게 나타났다(t=5.207, p<.001). 역할 인식의 차이가 가장 큰 순으로는 실무 전문가 영역(t=6.683, p<.001), 상담자(t=4.397, p<.001), 교육자(t=5.339, p<.001), 조정자(t=3.950, p<.001), 옹호자(t=2.838, p=.005)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사가 인식하는 역할과 수행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와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안에서 변화하는 간호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직무 기술서를 만들며 역할 수행이 힘든 역할에 대해서는 재분배하는 등 조직적 차원의 방법을 모색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학제 팀 내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해 팀원들의 업무를 경험하고 대상자의 정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정기적인 다학제 팀 회의와 다직군간 실무교육 등을 통해 서로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nurses’ roles as perceived and
performed with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multidisciplinary team and the roles
that are expected by the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nurses around the rapidly changing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in Korea. Also, understanding nurses’ key roles within the multidisciplinary
team will improve the quality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 method for this study was addressed using a descriptive stud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nurses and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six months in hospice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The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by researchers to address the nurses’ role in
hospice palliative care. It consisted of 49 questions in seven areas. After IRB
approval,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1, 2018. A total of
13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with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show following,
1. For rol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nurses, the overall average for
nursing was 4.46±0.38 (out of 5), followed by educator, advocacy, coordinator,
expert practitioner, counselor, researcher and quality manager. The overall level
of nurses’ role performance was 3.60 ± 0.60 (out of 5), followed by the roles of
educator, advocacy, expert practitioner, coordinator, counselor, quality manager
and researcher. The expected role of nurses within a multi-disciplinary team had
a total average of 4.09 ± 0.40 (out of 5), followed by advocacy, educator, quality
manager, researcher, coordinator, expert practitioner, and counselor.
2. Fo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he nurses’ role, the role
perception was higher than performance in all seven areas and the overall average
of 0.86 points was higher (t=14.986, p<.001). Amo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nurses’ role, researcher was the most different
(t=13.743, p<.001), followed by counselor (t=12.243, p<.001), advocacy (t=12.325,
p<.001), quality manager (t=10.051, p<.001), expert practitioner (t=13.368, p<.001),
and educator (t=11.139, p<.001).
3. For the difference in expected roles in hospice palliative care between nurses
and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the expected roles of the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were on average 0.37 points lower than nurses (t=5.207, p<.001).
The biggest difference in role perception was expert practitioner (t=6.683, p<.001),
followed by counselor (t=4.397, p<.001), educator (t=5.339, p<.001), coordinator
(t=3.950, p<.001), and advocacy (t=2.838, p=.005).
In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he nurses’ role, it is important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courses on the roles of nurses, and analyze the changing roles of nurses within the
current hospice palliative care situation, create job descriptions, and redistribute 
roles that are difficult to perform. In addition, to reducing differences in the role
perception of nurses within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it is necessary to
creat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each other's roles through regular
multidisciplinary team meetings and interpersonal practical training that allows the
team to experience each other’s work and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3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의 날을 보내며 / 이동우 2018  34
731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5
73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최창익 2015  35
7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과 가톨릭 교회 / 이동익 2018  36
728 20 죽음과 죽어감 Support for Voluntary Euthanasia with No Logical Slippery Slope to Non-Voluntary Euthanasia / Daskal 2018  36
727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 강승식 2013  37
726 20 죽음과 죽어감 When Is ``Dead'' Actually Dead? 2014  41
72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72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723 20 죽음과 죽어감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15  46
722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엄주희 2013  46
721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 진료에 관한 연구 / 최윤선 외 1995  46
720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 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상관성 / 박경란 외 2018  46
71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이 알아야 할 웰다잉 / 정현채 2010  47
718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 생명 말기에 경험하는 고통과 삶에 대한 태도 -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 최진일 2018  47
71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 오승민 외 2008  47
716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기관 유형에 따른 입원환자의 경험에 대한 고찰 / 정현철 외 2018  50
715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 김명숙 2014  51
7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서영준 2017  51
71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광현 2012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