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 : 상담학과 부부가족상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06784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을 적용하여

= Writing experiences of middle age women who lost their parents : using IPA(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 저자[authors] 박천영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161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현주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 : 상담학과 부부가족상담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부모의 죽음,중년 여성,글쓰기,해석현상학적 분석
  • 소장기관[Holding]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11117)
  • UCI식별코드 I804:11117-200000175363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죽음 경험에 대한 글쓰기를 시행한 후 글쓰기 체험은 어떠하였으며 그 체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지 만 5년 이내의 기간이 경과하고 40세에서 60세 사이의 3명의 여성 참여자를 대상으로  Jonathan Smith(2015)의 해석현상학적 분석에 기초하여 예비연구, 연구참여자 선정, 참여자의 글쓰기 수행 후 인터뷰를 통한 자료 수집, 자료 분석 및 글쓰기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 여성 참여자들은 부모의 죽음 경험에 대한 글쓰기 과정을 통해 4개의 상위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로 구성되는 체험을 하였다. 첫째, ‘서투르지만 안전한 공간, 글’은 중년 여성 참여자들은 오랜만에 글을 쓰면서 막막함을 느꼈으며 다중역할로 바쁜 일상 중에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내는데 어려움을 있었으나 충분히 다루지 못했던 부모의 죽음 경험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털어놓기를 할 수 있는 경험이었다. 둘째, ‘고통의 자락마다 나아가고 머무르기를 반복하다’는 참여자들이 글을 쓰면서 술술 써내려 갈 때와 막혀서 써지지 않는 경험을 했는데 이는 부모의 죽음에 대한 참여자들의 마음이 담긴 지점이었다. 슬픔, 분노, 죄책감, 죽음에 대한 절감 등이 나타났다. 셋째, ‘내가 서 있는 자리를 보다’는 글쓰기 체험을 통해 막연하던 삶의 유한함이 명확하게 다가왔고 보편적이지만 개별적인 사건인 부모의 죽음의 내밀한 고통과 만났으며 성숙을 요구받는 중년이라는 나이를 경험하였다. 넷째, ‘물리적 부재를 수용하는 내 안의 공존’은 참여자들은 글쓰기 체험을 통해 상실을 오롯이 담아내려 했고 이는 자신을 이해하고 싶은 용서의 마음이었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또한 부모의 죽음 경험에 대한 글쓰기 체험은 중년 여성 참여자들에게 남아있는 인생을 성찰하는 마중물의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글쓰기 과정 속에 녹아있는 체험적 의미를 세밀하게 볼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또한, 글쓰기 체험이 상담이나 심리치료 현장에서 부모의 죽음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내담자의 심리적 안녕을 돕기 위한 치료적 개입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주요어: 부모의 죽음, 중년 여성, 글쓰기, 해석현상학적 분석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eeply what the writing experience is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s after writing about the death experiences of parents in middle age women who experienced parental death. To this end, Jonathan Smith (2015) interpretive phenomenology for three female participants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years, Based on the analysis, we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sel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through interview after participant 's writing, data analysis and writing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iddle - aged women participated in the writing process of the parent 's death experience and consisted of 4 high - level topics and 13 sub - topics. First, 'Surfer but safe space, writing' means that the middle-aged women participated in writing for a long time and felt a sense of culpability. In their multiple roles, they had difficulty in taking time for their own busy life. However, It was an experience to be able to tell. Second, the participants who wrote "Repeat the process of going through the pain of the suffering" wrote an essay when they were writing, and they had a feeling that they could not get used to it. Sadness, anger, guilt, and death. Third, I came to the limit of life which was vague through the experience of writing "I look at the place where I am standing", and met with the intense pain of the universal but individual event of the death of the parents and experienced the middle age demanding maturity. Fourth, 'coexistence in my acceptance of physical absence' means that the participants tried to put the loss through the writing experience and realized that it was the forgiveness of wanting to understand oneself. In addition, the writing experiences of parents' death experiences were found to play a role of primer in reflecting on the life remaining for middle - aged female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writing experiences of middle - aged women who experienced parental death in detail. It also means that writing experience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to help the client 's psychological wellbeing suffering from parental death in counseling or psychotherapy fiel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7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2
»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2
57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6
56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56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4
567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56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
565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09
56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09
56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56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2
561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56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55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558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5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55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555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고 / 김혁돈, 이재호 2019  480
554 20 죽음과 죽어감 조력자살과 형법 - 안락사의 일 유형으로서의 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주희 2011  478
55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