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35714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Nursing Hospital Workers’ Hospice·Palliative Care Knowledge and Awareness, End-of-Life Care Attitude and Death Awareness on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 저자명 : 박미라, 제남주
  •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권호사항 : Vol.21 No.4 [2018]
  • 발행처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hospicecare.co.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24-136(13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8년
  • 등재정보 : KCI등재


http://www.riss.kr/link?id=A105935714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돌봄에대한 지식과 인식 및 임종돌봄 태도, 수행도, 중요도, 죽음에 대한 인식하고 임종돌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요양병원에 근무하는113명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수집하였다.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 호스피스 완화돌봄 인식, 임종돌봄 태도, 임종돌봄 수행도 및 중요도, 죽음에 대한 인식 등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IBM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결과: 요양병원 근무자의 임종돌봄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임종돌봄 중요도와 결혼유무이었으며, 이는 38.2%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돌봄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임종돌봄 중요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그들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임종돌봄 수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을 하는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72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271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2
27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고찰 / 류기환 2019  182
2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0
268 20 죽음과 죽어감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계적 자율성 :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가족의 개입을 중심으로 / 이소영 2014  179
26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79
266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79
265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78
»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미라, 제남주 2018  175
26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2015  174
262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74
26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의사조력자살 간 경계에 관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외 2018  173
260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자 임종 돌봄 봉사의 실제 / 송지환 2017  173
25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계숙 2018  172
25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2017  169
2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 박정연 2017  169
256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2019  169
25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66
2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 김용 2018  166
253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정일권 2018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