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35715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 저자[authors] 박상미,황선욱,한경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1No.4[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7-14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초록[abstract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mily composition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nd how it affects their hospice car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died in one hospice unit between January 2009 and March 2014.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ere examined, and any different made by their marital status was evaluated. We calculated the time interval between cancer diagnosis and hospice admission and the survival period from hospice admission to death and analyzed their association with family composition. Results: When divided by the median time of 13 months between diagnosis and admission, Group B (>13 month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living with their spouses; (P<0.01). The main decision maker was a spouse (52.9%) in Group B; (P=0.04). Conclus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composition, the presence of spouse was an important factor associated with admission to a hospice unit. Clinicians need to be aware of the impact of marital status on end-of-life care. This study indicates that it is helpful to understand family composition of terminally-ill cancer patients for an effective palliative and hospice care., 목적: 가족구성의 특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양한 실증 연구들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우리나라에 말기암환자의 가족구성의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입원하고, 사망한 말기암환자의 가족구성의 특징을 파악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후 48시간 후 사망한 말기암환자의 13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분석하였다. 환자들의 인구사회학적 및 임상적인 특성을 확인하여동거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암 진단 후 호스피스입원까지 기간(개월) 및 입원 후 사망까지의 생존기간(일)을 산출하여 가족구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암 진단 후 호스피스 입원까지 기간의 중앙값 13개월을 기준으로 나눈 Group B(13개월 이후)에서 배우자 동거군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주의사결정권자는 Group A 에서는 자녀인 경우가 59.0%, B에서는 배우자가 52.9%로 많았다(P=0.04). 호스피스 입원 후 사망까지 기간의 중앙값 20일을 기준으로 Group 1(20일 미만)과 Group 2(20일 이상)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두 군 간의 가족구성의 특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가족구성의 특성 중 배우자의 유무가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보다 더 효율적이고 적절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을 위해 가족 구성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92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9
69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4
69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689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2014  1146
688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4  1136
68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22
686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9
68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2017  1079
68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8
68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68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5
681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68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7
679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2018  988
67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677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6
67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권인혜 2018  976
675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5
6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연명치료 비교 / 김현아 2014  959
67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