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295414 
영상미디어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와 교육적 대안 

= Image of Death in Visual Media and Educational Alternative

  • 저자[authors] 강진구(Kang, Jin G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2010]
  • 발행처[publisher]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45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0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473.000
  • 주제어[descriptor] 죽음,이미지,죽음교육,미디어 효과,영상 미디어,Death,Image,Death Education,Media Effect,Visual Media

초록[abstracts] 
[영상 미디어는 죽음의 이미지들로 넘쳐나고 있다. 그러나 그 이미지들은 실제적인 죽음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 하고 있다. 우리는 영상미디어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죽음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가질 필요가 있다. 영화와 컴퓨터 게임에 나타난 공통된 죽음의 이미지는 다섯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1) 죽음은 대단히 가볍거 나 반대로 매우 참혹하다. (2) 악인은 꼭 죽어야 한다. (3)복수는 아름답다. (4) 죽음은 부차적(副次的)인 것이다. (5) 영웅은 사람을 죽일 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영상 미디어 속 죽음의 이미지는 어디까지나 실체가 아닌 허구에 불과하 다. 실제적으로 죽음에 대한 연구를 가장 많이 해 온 종교의 시각을 통해 그 이미지를 판단할 때 우리는 생명의 본질 과 의미를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죽음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돕는 ‘죽음 교육’의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죽음은 의미있는 생을 가르치는 최고의 스승이다.

The visual media overflows with the images of death. Those images can't help understand the dead which is real. The analysis is necessary about the image of death and then we think of our life deeply. There are five kinds of images of death in films and computer games. (1) Death is very light or cruel. (2) Villain must die. (3) Vengeance is beautiful. (4) The dead is to be secondary. (5) Hero must kill the person. But almost Images of death in the visual media is a fiction. It is a necessary to learn a dead with the something else. Religion is having the most knowledge of death. We are able to present an Death Education with alternative. Death is the best teacher who teaches the life of meaningfulnes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이미지가 지배하는 미디어 사회  Ⅱ. 전자영상 미디어에 나타난 일반적 문제  Ⅲ. 죽음의 이미지와 해석  Ⅳ. 영상매체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에 대한 종교적 평가 -기독교를 중심으로  Ⅴ. 결론 - '죽음의 이미지’를 극복하는 ‘죽음 교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9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915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발행년 2013 

  • 조회 수 899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발행년 2005 

  • 조회 수 89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박상은

발행년 2018 

  • 조회 수 8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883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87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87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발행년 2011 

  • 조회 수 87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발행년 2014 

  • 조회 수 85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발행년 2014 

  • 조회 수 84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발행년 2013 

  • 조회 수 838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현아

발행년 2013 

  • 조회 수 83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24시간 동안 진통제 사용의 분석 : 내과의사와 외과의사의 비교 / 최윤선 외

발행년 1998 

  • 조회 수 800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79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감소를 위한 마약성 진통제 사용의 제도적 개선 방안 / 김승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782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발행년 2014 

  • 조회 수 778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발행년 2010 

  • 조회 수 77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발행년 2014 

  • 조회 수 77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 일부종합병원 중심으로 / 전명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