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에니어그램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270842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The Educational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e Death-understanding Counseling

  • 저자[authors] 임진옥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에니어그램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No.2[2006]
  • 발행처[publisher] 한국에니어그램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5-15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6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180
  • 주제어[descriptor] death-understanding, death education, existential awakening, modern education, 죽음이해, 죽음교육, 실존적 자각, 근대교육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이러한 삶과 죽음의 관계 속에서 죽음이 어떻게 현대의 교육에 침투되어 있는가를 성찰하는데서 출발한다. 삶이 죽음과 불가분의 관계라는 점과 서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라는 점을 바르게 인식한다면, 죽음에 대한 인식뿐만이 아니라 삶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담의 현장에서 죽음의 이해를 통해서 자신의 심층적인 내면세계를 되돌아봄으로써 자기 앞에 놓인 현실이 보다 역동적으로 관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으려는 것이다. 죽음을 이해하는 상담활동이 단지 임종을 앞둔 환자나 노인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현장에서 발달 수준에 맞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교육과정으로써 구현되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필요성과 그 교육적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cessities and tasks of the death-understanding Counseling. Man cannot escape his death as his own fate, so it is the most difficult thing to overcome the fear for death. Death is a natural development in a continuum with life. To be sure, traditional religions regretted early death, and some sought longevity or immortality, but they ultimately accepted death as a necessary part of the cosmic process, a process which is essentially good. But in modern educational thought, death is not a educational  subject because of the dualism between death and life. Therefore, life is the only way to develop  and expand the human power but death just seemed as the end or extinction of life. This kind of thought has made the prejudices that death is the negative and feaful event. Life and death are not the contradict.]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서론 II. 죽음관 형성의 이론적 배경 1. 죽음의 생물학적 이해 2. 죽음의 심리학적 이해 3. 죽음의 철학적 이해 III. 죽음이해의 교육학적 접근 1. 현대교육과 죽음의 문제 2. 죽음이해의 교육과 상담의 과제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2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4
9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적 허용여부 논의를 위한 한국적 논의 모형 제안 2000  93
90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향한 불편한 시선, 존엄한 죽음을 말하다 / 하정화 2017  93
89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 · 질병없는 미래를 꿈꾼다 ·· 바이오신약 / 장인진 2004  91
8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이정임 2011  90
87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 안병하 2018  90
8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양정연 2013  89
85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임종진료에 대한 태도 - 안락사를 중심으로 1999  85
8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대리인 지정제도 도입방안 모색 / 김보배 외 2018  83
83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2017  81
82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도 및 현황/최영순 2014  80
81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연방의사협회 죽음의 동행 원칙 / 이석배 2017  80
80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 / 남미영 외 1995  79
79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 오세혁, 정화성 2010  78
7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태도 영향 요인 / 서유리 2017  78
77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 인식에 따른 호스피스 준비의 관심에 관한 연구 / 장경희 외 2018  78
76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2008  77
7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7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2018  77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2006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