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정간호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10622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to Burnout, and Meaning in Life of Hospice Volunteers

  • 저자[authors] 김경옥,유명숙,Kim, Kyung Ok,Yoo, Myung Soo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가정간호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5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가정간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8-8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호스피스,자원봉사자,감성지능,소진탄력성,생의 의미

초록[abstract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to burnout, and meaning in life of hospice volunte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00 hospice volunteers who were working at hospitals for six months or longer.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7 to March 31, 2016,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22.0.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to burnout and meaning in lif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hospice volunteers' meaning in life were resilience to burnout(${\beta}=.47$), emotional intelligence(${\beta}=.15$), educational level(college, ${\beta}=.11$), religion(protestant, ${\beta}=.12$; buddhism, ${\beta}=-.15$), and motivation for neighborhood service(${\beta}=.16$). These variables explained meaning in life up to 50.2%. Resilience to burnout was the greatest effective factor on meaning in lif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improve hospice volunte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to burnout. Also, educational level, religion, and service motivation of hospice volunteers should be consider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2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7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7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 제도화’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윤리 신학적 고찰 / 이병근 2017  75
69 20 죽음과 죽어감 취약한 집단에서 연명의료 / 박소연 2017  74
6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6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3
6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 발생 현황 분석 / 김혜림 2017  73
6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법안의 분석과 평가 : 입법학적 관점에서 / 홍완식 2009  73
6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의 법률적 쟁점 및 향후과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정유진 2017  72
63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죽음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 / 권수빈 외 2017  72
6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
6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병원윤리위원회 역량강화 교육모듈 개발 / 이강숙 2012  71
60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2000  70
59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죽음 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 송현동 외 2018  70
5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PR 캠페인의 전제 / 김병희 외 2018  70
57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2017  69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
55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5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
53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2017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