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신학과 실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56221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저자[authors] 유현숙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신학과 실천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8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실천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75-49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죽음, 죽음의 두려움, 영혼, 구원의 확신, 임종예배, death, fear of death, soul/spirit, assurance of salvation, worship before die

초록[abstracts] 
[한국전쟁의 소문과 자연재해, 질병 등으로 인해 죽음의 두려움은 점점 더 커져만 가고 있다. 죽음의 두려움을 주는 요인들은 신체적인 이유, 정신적인 이유, 사회적인 이유, 자연과 철학적인 이유와 종교적인 이유들, 그리고 영적인 이유들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인들이 주로 믿는 여러 종교에서 말하는 죽음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들로 인하여 한국의 기독교인들이 죽음에 대한 혼동된 개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죽음의 두려움을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과 이런 혼합된 죽음에 대한 개념으로 인하여 사후에 있을 구원의 문제도 역시 혼동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죽음의 두려움과 구원의 확신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85%는 죽음 후에 자신이 천국에 갈수 있다고는 믿고 있지만, 더 깊숙이 조사를 해보면 죽음을 두려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령의 도우시므로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확신하는 기독교 성도는 25%에 불과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흥미로운 것은 죽음의 두려움을 성령님의 은혜로는 해결할 수 없다고 응답한 사람, 모두는 100% 천국에 갈수 없다고 대답하였다. 인간은 전인적인 존재로, 영(spirit), 혼(soul), 마음(heart), 생각(thinking), 육체(body) 등이 연합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죽음의 두려움은 영적인 문제이다. 특별히 죽음의 두려움과 구원의 확신과의 관계는 더욱 영적인 면에서 다루어져야만 하는 문제이다. 크리스천들에게 이런 영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곳은 심리학자가 아닌 목회자에게서 해결을 받아야 할 것이다. 교회 안에 심리학이 만연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인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은 목사이기를 60%가 원하였다. 교인들의 영적인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곳은 교회뿐임에도 불구하고 교회에서 죽음에 대한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목회자 역시 영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험이 적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네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죽음과 부활, 영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생전에 임종예배의 필요성, 요양보호시설이나 호스피스 사역에 대한 관심, 목회자의 성령의 충만함 삶이 중요하다.  

Fear of death is getting bigger because of rumors of the Korean War, natural disasters and diseases. There are many reasons that physical, mental, social, natural and philosophical, religious, and spiritual reasons for fear of death. In this paper, Korean Christians have confused the concept of death because of different concepts of death in many religions that Koreans mainly believe. It was also found that mixed the concept of death was also made confused with the question of salvation after death. In addition, many people are experiencing a lot of fear of death. Therefore, I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of death and the assurance of salvation. In this study, 85% believed that he could be going to heaven after death, but further investigation found that only 25% of Christian Saints were convinced that they could be saved by grace of the Holy Spirit even though they were afraid of death. Interestingly, anyone who replied that the fear of death can not be resolved by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said that everyone can not go to heaven 100% in this result. Fear of death is a spiritual matter. Human beings are holistic beings, combination of spirit / soul / heart / thinking / body.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of death and the assurance of salvation is a matter that must be treated more spiritually. In Christians can solve this spiritual problem, they will need to be resolved by the pastor, not the psychologist. Despite prevalence in psychology in the church, 60% of the church members wanted to be a minister who could help solve the fear of death problem. This spiritual problem can be dealt with in the church, though it is not only that the church is not well educated about death, and the pastor has no experience in solving spiritual problems. To this end, I would like to suggest a few th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educate about death,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Second, it is better to worship service before the end of death than after the end of death, Third, we should be more interested in care of nursing facilities or hospice ministry, Fourthly, need to be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죽음의 두려움을 주는 원인    1. 죽음이란 무엇인가?    2. 죽음의 두려움을 주는 원인   III. 죽음의 두려움과 구원의 확신과의 관계    1. 죽음의 두려움과 구원의 확신과의 조사결과    2. 죽음의 두려움을 해결하는 방법과 구원의 확신    3. 영적인 돌봄이 필요하다    4.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구원의 확신이 필요하다.   IV.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151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18
15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149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14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147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7
14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145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6
144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5
143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14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41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3
139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2
13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관한 연구 2010  111
13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2018  111
136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13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09
134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2010  108
133 20 죽음과 죽어감 의존상태 노인의 의료에서의 존엄 / 김도경 2014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