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25450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 선호도 

= Comparison of the Death Anxiety and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 저자[authors] 조경희,박용경,서순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3[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6-28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ttitudes toward death anxiety and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Data were collected from 225 employees (150 nurses, 75 physicians)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The study found a higher presence of death anxiety in nurses than physicians. Within the category of death anxiety, the “dying of others” was highest in nurses, whereas the “death of others” was highest in physicians. Among the five dimensions of the preferred care near the end of life, “pain” was the most preferred dimension while “decision-making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was the least preferred dimension for both nurses and physicians. Physicians preferred autonomous decision-making and decision-making by healthcare professionals; nurses preferred pain and spirituality. The results show that adequate pain relief is the most preferred care at the end of life for both nurses and physicians. This study indicates that nurses and physicians consider patient autonomy, pain control, and spirituality as important factors in end-of-life car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are needed to reduce the death anxiety of nurses and physicians and thereby improve their terminal care performance., 

본 연구는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 선호도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 225명이었다. 간호사의 죽음불안 은 의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간호사는 타인의 죽어가는 과정에 대한 불안, 의사는 타인의 죽 음에 대한 불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신이 죽어가는 과정에 대한 불안은 간호사와 의사 모두에서 가장 점수가 낮았다. 임종치료 선호도는 간호사와 의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임종치료 선호도 중 통증 영역이 간호사, 의사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 영역이 간 호사와 의사 모두에서 가장 낮았다. 간호사와 의사는 죽음불안 및 임종치료 선호도 차이점과 유사점을 서로 이해하여 협력하고 공감하며 최상의 치료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32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631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97
630 20 죽음과 죽어감 사이버보안 특집 : 연명치료의 중단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2011  98
629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거부권, 죽을 권리 및 존엄사에 대한 재검토 / 노동일 2009  98
62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의 의미 / 정복례 외 2017  98
62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 김미혜 외 2010  98
626 20 죽음과 죽어감 세계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 비교 / 아태연구 2013  98
62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이용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료비 / 신정원 2019  98
624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99
623 20 죽음과 죽어감 도덕적 이슈에 관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과 정책과정 분석 -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 / 하은희 외 2018  99
622 20 죽음과 죽어감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 유은영 외 2017  99
6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대국민 교육프로그램 개발 / 태윤희 2016  100
620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서비스가 말기암 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정현명 2009  100
619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현정 2017  100
61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이지은 2015  100
»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 선호도 / 조경희 외 2017  102
6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정미렴 2018  102
615 20 죽음과 죽어감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홍석영 2007  103
6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2011  103
613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안영 2018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