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組織神學論叢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65166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응답 
= A Theological Criticism and Response to Shelly Kagan’s Death
  • 저자[authors] 백충현 ( Baik Chung-hyu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組織神學論叢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0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조직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9-13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죽음, 일원론, 이원론, 물리주의, 영생, Death, Monism, Dualism, Physicalism, Eternal Life


초록[abstracts]
[지난 여러 해 동안 죽음에 관한 책들이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죽음에 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크게 증대한 상황 속에서 2012년에 출판된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Death)는 죽음에 관한 철학적 접근 및 성찰을 대중적으로 확산시켰다. 그런데 이 책에서 케이건은 죽음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분명하게 진술하는데, 그에게 따르면 죽음은 “삶의 끝”이고, “삶의 소멸”이다. 케이건의 입장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첫째, 인간은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오로지 육체만이 존재한다. 둘째, 영혼은 존재하지 않으며 “영혼”/“정신”이라는 용어는 인간 육체가 지니는 고차원적 기능들을 가리키는 개념적 도구일 뿐이다. 셋째, 죽음은 끝이고 소멸이기에 죽음 이후의 영원한 생명, 즉 영생의 개념을 논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넷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는 죽음을 인정하며 신중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케이건의 이러한 입장은 기독교 신학과는 매우 다르다. 그리스도인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묵상하되 그 이후의 부활을 묵상하면서, 우리에게도 엄연히 죽음이 있을 것이지만 그것이 최종적인 끝이 아니라 장차 죽은 자의 부활이 있을 것임을 확신하고 기대하고 소망한다. 그러기에 본 논문에서는 케이건의 죽음에 대한 입장을 분석하고 정리한 후에, 신학적으로 비판하고 응답하고자 한다. 더 구체적으로, 케이건의 인간관으로서의 물리주의, 그의 “정신”/“영혼”관, 그의 영생관 그리고 “삶의 끝”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그의 태도를 정리하고, 각각에 관하여 신학적으로 비판하고 응답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의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독자들이 기독교 신학에서의 죽음과 부활과 영생의 개념들을 더 분명하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re have been many books on death for the last several years. In the midst of recent growing interests in death, Shelly Kagan’s Death, published in 2012, has spread a philosophical approach or reflection on death publicly. However, this book provides Kagan’s own distinct position on death, which argues that death is “an end of life” and “extinction of life.” To examine Kagan’s position on death in more detail, first, a human being does not consist of body and soul, but consists of body alone. Second, soul does not exist, and the terms such as “soul” and “mind” are only conceptional tools which refer to some higher functions of human body. Third, as death is an end and extinction, we do not need to talk about an idea of eternal life. Fourth, an appropriate attitude towards death is to recognize death and to live carefully. Kagan’s position on death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Christian theology. Christians meditates not only the death of Jesus Christ, but also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nd they not only recognize that death is sure to come for all people, but also expect that death is not the final end, with a great hope that there would be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Thus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analyze Kagan’s position on death, together with a theological criticism and response to it.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Kagan’s anthropology as physicalism, his understanding of “mind”/“soul,” his idea of eternal life, and his attitude towards death as “an end of life.” And then this paper provides a theological criticism and response to his position on death. Through this discussion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we could be aware of Christian theological ideas of death,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more clearl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7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 심세화 2016  364
47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문노을 2014  361
47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469 20 죽음과 죽어감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신교남 2018  355
4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3
» 20 죽음과 죽어감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응답 /백충현 2018  351
46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0
465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역할인식, 간호스트레스 및 태도 / 이수정 2016  349
46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사례비교 및 존엄사의 정당화 가능성 연구 : 故 김수환 추기경과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혁남 2010  349
46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이백휴 2010  348
462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48
461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
46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 점승헌 2013  345
459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의 태도: 완화적 진정을 중심으로/오승민 외 2016  345
45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4
45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4
456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 / 구종모 2013  342
45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환자 가족의 역할: 말기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장원경 외 2015  342
45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변호사들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이경남, 김분한, 이훈희 2010  342
4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하명옥 2010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