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노인복지연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522825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the LTC policies between the US and Japan: focusing on ‘Obama care plan’ and ‘Abe-Reform’

  • 저자[authors] 김찬우(Chanwoo Kim),신수경(Sookyung Sh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노인복지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73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노인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3-16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장기요양,개호보험,아베개혁,적정부담의료법,통합적 케어,Long-term care policy,Japanese LTC insurance,Abe-Reform,The affordable care Act,Integrated car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최근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 관련 주요 개혁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 노인장기요양 정책에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양 국가의 개혁관련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미국과 일본은 최근 ‘오바마개혁’과 ‘아베개혁’으로 불러진 의료 및 장기요양정책에 관한 주요 개혁을 추진하였다. 미국의 공적 장기요양 정책은 메디케이드와 메디케어의 장기요양지원에 관한 개정과 논란이 30년간 지속되어 오다가 오바마 대통령의 적정부담의료법통과 이후 일대 전환기를 맞게 된다. 일본은 2012년 이후 ‘의료․개호서비스 제공체계의 효율화, 중점화와 기능강화’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마침내 2015년 ‘의료개호종합확보추진법’이 제정되었다. 분석결과 이러한 두 국가의 최근 개혁의 핵심적 특징은 지역사회 중심의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지역성, 예방성 및 의료-요양 통합성 등에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양 국가의 개혁에 대한 배경으로 장기요양 정책의 변천과정을 논의하고자 한다. 둘째, 본 개혁의 장기요양 관련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양 개혁의 특징을 지역보호성, 예방성, 통합적 케어 정도의 틀에 맞추어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이 우리나라 장기요양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cent long-term care policies of both Japan and the US. Both countries has implemented the recent LTC policy reforms, so-called Abe-reform and Obama plan. Since 2012, Japanese LTC reform have focused on the efficiency, focalization, and enhancement of the medical and LTC service provision system. It turned out to enact the ‘Act of comprehensive improvision of integrated medical care and long-term care’ in 2015. In the US, public LTC policies has been long time issues derived from the debates of Medicaid, Medicare and other health care financing. The Obama government has tried to solve those issues by implementing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e three core points of the recent LTC reforms of both countries, community-focusing, prevention and integrating health and long-term care. In the first sec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history of both countries’ LTC policies. In the second section, by focusing on community-focusing, prevention and integrating health and long-term care, the study compar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cent reforms between both countries. Lastly, the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reform the Korean LTC insurance polic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believed to impact on planing of the future LTC insurance reform in Korea.]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미국 장기요양제도의 변천과 최근 개혁  Ⅲ. 일본의 노인 의료 및 장기요양보험 변천과 주요 개혁  Ⅳ. 양국의 비교분석  Ⅴ. 결론: 양 국가의 개혁이 한국에 주는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2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의사조력자살 / 허순철 2010  294
41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장경희 2017  293
41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가톨릭교회의 가정호스피스 현황과 활성화 방안 :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 장인우 2014  292
40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은자 외 2016  292
40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9
40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 권미연 2017  288
40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과 환자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태도와 인식 / 권예옥, 안성희 2013  286
40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정순태 2016  286
»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김찬우,신수경 2018  285
40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4
4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2017  284
401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40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 엄정경 2017  283
39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1
39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대하는 현대의학의 태도 비판 / 박중철 2017  281
39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39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사책임과 입법적 고찰 / 최은희 2006  277
39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강성자 2018  277
394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강지혜 2019  277
393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