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위덕대학교 대학원 : 불교학과 명상심리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10528 
재가자 임종 돌봄 봉사의 실제 

= Practice of care for the dead

  • 저자[authors] 송지환
  • 발행사항 경주 :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179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장익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위덕대학교 대학원 : 불교학과 명상심리학 2017.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상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불교재가자 임종봉사,불교재가자 호스피스,불교 임상 매뉴얼,불교 돌봄 매뉴얼,불교 임종 돌봄,재가 임종 돌봄,Buddhism upasaka and upasika death volunteer work,Buddhism upasaka and upasika hospice,death manual,hospice manual,upasaka and upasika caring
  • 소장기관[Holding] 위덕대학교 도서관 (247032)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호스피스 병동에서 봉사하는 재가신도가 환자 생존부터 사망까지 전인적 돌봄을 하는 과정에서 관찰한 실제의 경험을 토대로 한다. 거기에‘상구보리 하화중생’하는 대승보살정신과 불교교리를 더하여 환자와 가족의 이익과 봉사자의 보살수행에 이익이 되는 방법을 일관성 있게 정리하고 공유할 필요를 느껴왔다. 하지만, 수많은 중생들의 근기에 따라 다양한 삶의 과정에서 생긴 고통해결을 위한 부처님의 방편설과 그것을 해석한 교리는 너무나 방대하고 복잡하여서 시한부 삶을 사는 환자에게 쉽게 전달하기 어려웠다. 또, 봉사자 여럿이 다른 날짜에 봉사하므로, 제시하는 내용에 일관성이 없어서 환자가 혼란스러워 하거나 믿지 않았다. 여러 봉사자가 각각 다른 날짜에 오더라도 한 사람이 돌봄 하는 것처럼 통일성을 느껴서 환자와 가족들이 믿고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그것은 죽어가는 환자의 제한된 기간에 맞춰 불교가 가진 수많은 경전과 거기서 나오는 여러 귀의 대상을 과감하게 일원화하고 단순화하게 표준화하기위해 매뉴얼을 작성하기로 하였다. 그 결과 돌봄을 크게 4단계로 나누고, 첫 번째, 환자가 직면한 죽음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 현대 심리학과 유식학의 방어기제를 활용해 환자의 핵심감정을 관찰하여 제시 한다. 두 번째, 죽음을 수용하여 우울해하는 환자에게 (자신의 고통 자각하는지-고통 원인 아는지- 고통 해소하고 싶은지 - 물어보고 해소방법을 제시) 부처님 가르침을 설명하고‘아미타불’의 극락을 이해시킨다. 죽음의 고통과 번뇌를 멈추게 하는 대안으로 사성제와 팔정도를 제시하여 귀의케 하고 육바라밀행의 보시 지계 등을 지키며 남은 생을 올바른 삶이 되도록 권한다. 세 번째, 환자가 자신의 수행차제에 따라 안정된 마음을 유지하며‘참회와 화해’, ‘수용과 용서’하여 금생의 인간관계를 잘 정리 하고 내생에 선처에 나기위해 자비도량 참법, 육바라밀수행 등을 통해 유산정리와 보시 등을 위한 유언장을 작성한다. 또, 연명의료 의향서 작성을 통해 마지막순간 신체적 고통의 원인을 제거하고 평온함을 유지 하도록 권유한다. 네 번째, 현재의 삶을 정리하고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해 사회에 기여하는 보살행 실천 속에서 임종을 맞아서 ‘아미타불’십념을 성취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2014년 6월에 초안을 작성하였다. 초안은 봉사자들의 의견과 전문가들의 십여 차례 꾸준한 조언을 받아 수정을 거듭하여 현재의 매뉴얼을 완성하였다. 향후 임상 활동가들의 피드백을 통해 꾸준히 개선 보완해 나갈 것이다. 본고가 재가 불교호스피스 활동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초록[abstracts]
Reality of Upasaka and Upasika’s caring volunteer service This thesis is based on real experiences in process of upasaka and upasika who volunteer works at hospice unit serving total care service to patient from survival to death. In addition feel to need organize consistency and share beneficial method to patient and his family’s profit and bodhisattva practicing with adding the great vehicle-bodhisattva sprit, ‘SANGGUBORI HAHWA JUNGSAENG’, and Buddhism creed. But it is hard to deliver expedient means (methods to solve cessation of many living beings followed by endurance) and its creed to terminally ill patient because those are so huge and complexity. And different each volunteers serve different day, their contents are not consistent so patients are confused or don’t believe them. I found the way to patient and his family can believe and do together, even each volunteers visit different day but feel having unity That is tuning dying patient’s limited period, writing this manual for make number of Buddhist scriptures and their devotion targets unification and simply standardization. Consequently, caring is divided into 4 steps. First, for escaping from facing cessation of death, using the modern science of psychology and yogacara thought’s defense mechanism, observe patient’s core feeling. Second, explain the meaning the teachings of Buddha and understanding pure land of Amitabha to depressed patient who accept his death. Alternative of stopping death’s cessation and defilements, suggest the four noble truth (suffering, cause of suffering, cessation, the path of cessation) and noble eightfold path (right view, right thought,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right concentration), recommend right way to live through make patients are converted to Buddhism and following six perfections charity and moral. Third, a patient keep stable his mind with bodhisattva practicing, well organize relationship in this life as doing ‘repentances and reconciliation’, ‘accept and forgiveness’ and make a will through compassion-generous, repentance with Buddhist scriptures and fulfilling six perfection for favorable in next life. As writing letter of intent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remove physical cause of suffering and recommend keep calm. Fourth, in Bodhisattvas practice, sorting current life and contributing to society for ‘beautiful completion’, final goal is achieving tenfold prayers. This draft was written June, 2014. This draft is revised with volunteers and received expert’s advice numerous times, current manual is completed. From now on, the draft will be compensated with clinical activist’s feedback. Hope this thesis can be useful for JAEGA Buddhism hospice activitie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1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2. 연구의 방법 ----------------------------------------------6
3. 용어의 정의 ---------------------------------------------10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12
1. 재가 임종 돌봄의 이론적 바탕 ----------------------------12
2. 선행 연구 검토 ------------------------------------------24
Ⅲ. 재가자 임종 돌봄 봉사의 실제 -------------------------------28
1. 재가 임종 돌봄 봉사자 -----------------------------------28
2. 임종 돌봄 대상자 ----------------------------------------30
3. 재가 임종 돌봄의 실제 순서와 방법 -----------------------34
4. 재가 임종 돌봄 표준 작성과정 ----------------------------42
Ⅳ. 불교 임종 돌봄 재가 봉사자 매뉴얼 --------------------------52
Ⅴ. 결론 ------------------------------------------------------160
[참고문헌] ------------------------------------------------163
[ABSTRACT] ----------------------------------------------1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72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271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2
27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고찰 / 류기환 2019  182
2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0
268 20 죽음과 죽어감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계적 자율성 :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가족의 개입을 중심으로 / 이소영 2014  179
26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79
266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79
265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78
264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미라, 제남주 2018  175
26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2015  174
262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74
26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의사조력자살 간 경계에 관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외 2018  173
»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자 임종 돌봄 봉사의 실제 / 송지환 2017  173
25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계숙 2018  172
25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2017  169
2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 박정연 2017  169
256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2019  169
25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66
2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 김용 2018  166
253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정일권 2018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