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희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96208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 Verfassungswidrigkeit von §24 I, II des Koreanischen Psychischkrankengesetzes - Ein Versuch zur Anwendung der BVerfGE 128, 282ff. -

  • 저자[authors] 정태호(Chung, Tae-H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경희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1No.2[2016]
  • 발행처[publisher] 경희대학교 경희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1-15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정신보건법,정신질환자,강제입원,강제치료,신체의 자유,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보호의무자 Psychischkrankengesetz,psychisch Kranke,Schutzpflichtige,Unterbringung,Zwangsbehandlung,Freiheit der Person,Grundrecht auf kö rperliche Unversehrtheit

초록[abstracts] 
[본고는 헌법재판소에 위헌제청된(2014헌가9)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의 강제입원·강제치료제도(정신보건법 제24조 제1, 2항)는 강제입원의 사유가 필요 이상으로 넓고 막연하며그절차도불필요한신체의자유의침해를걸러내기에는너무도허술할뿐아니라강제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의 해악보다 강제치료의 효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치료법만을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실체적·절차적으로 통제하지 않고 있어 정신질환자들의 신체의 자유,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이와 관련한 자결권, 평등권 등을 침해하여 위헌임을 논증하였다.

Hiermit wird darauf gezielt, die Verfassungswidrigkeit des in einem konkreten Normenkontrollverfahren(2014Hunga9) vor dem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 vorgelegten §24 I, II des Koreanischen Psychischkrankengesetzes**85)zu demonstrieren. M. E. genügen diese Vorschriften nicht materiell-rechtlichen, verfahrensrechtlichen und formellen Anforderungen aus den Grundrechten der psychisch Kranken, die durch die Zwangsunterbringung und -behandlung schwerwiegend eingegriffen werden. Hier wird festgestellt, §24 I, II des Koreanischen Psychischkrankengesetzes sind aus folgenden Gründen verfassungswidrig: Der Gesetzgeber regelt hierin die materiellrechtlichen Voraussetzungen für die Unterbringung der psychisch Kranken in die Psychiatrie zu weit und unbestimmt, so daß die Tür für unerforderliche Unterbringungen unhaltbar weit geöffnet wird. Außerdem stellt er den Betroffenen keinerlei effektiven Gerichtsverfahren, in denen sie die Rechtsmäßigkeit und Verhältinsmäßigkeit ihrer Unterbringung zu kontrollieren ermöglichen, zur Verfügung. Daneben beschränkt er medizinische Zwangsbehandlungen gegen den natürlichen Willen der untergebrachten psychisch Kranken nicht auf Therapien mit Aussicht auf Erfolg, deren erwartende Nutzen den möglichen Schaden überwiegt, und zuläßt darüberhinaus Zwangsbehandlungen nicht nur als letztes Mittel. Schließlich stellt er den untergebrachten psychisch Kranken keine verfahrensrechtlich effektiven Schutzmaßnahmen gegen Zwangsbehandlungen bereit]

목차[Table of content]
l. 문제제기 ll.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의 강제입원·치료제도의 개관 lll.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 치료제와 기본권제한의 존부 lV.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 치료제와 기본권제한의 정도 및 헌법적 정당화요건 V.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 치료제의 위헌성 Vl.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3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의 날을 보내며 / 이동우 2018  34
731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5
73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최창익 2015  35
7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과 가톨릭 교회 / 이동익 2018  36
728 20 죽음과 죽어감 Support for Voluntary Euthanasia with No Logical Slippery Slope to Non-Voluntary Euthanasia / Daskal 2018  36
727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 강승식 2013  37
726 20 죽음과 죽어감 When Is ``Dead'' Actually Dead? 2014  41
72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72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723 20 죽음과 죽어감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15  45
722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이 알아야 할 웰다잉 / 정현채 2010  46
721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엄주희 2013  46
72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 진료에 관한 연구 / 최윤선 외 1995  46
719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 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상관성 / 박경란 외 2018  46
718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 생명 말기에 경험하는 고통과 삶에 대한 태도 -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 최진일 2018  47
71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 오승민 외 2008  47
716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기관 유형에 따른 입원환자의 경험에 대한 고찰 / 정현철 외 2018  50
715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 김명숙 2014  51
7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서영준 2017  51
71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광현 2012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