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과 말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34443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Beyond the Modern Philosophy of Death : Rene Girard and Life Theology

  • 저자[authors] 정일권 ( Chung Il Kwae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과 말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018]
  • 발행처[publisher] 개혁주의생명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4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르네 지라르, 죽음의 철학, 포스트모더니즘, 생명신학, 니체, 하 이데거, Rene Girard, Philosophy of Death, Postmodernism, Life Theology, Nietzsche, Heidegger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니체가 선포한 유대-기독교의 도덕적‘신의 죽음’이후에 20세기에 일시적으로 유행한 많은‘죽음의 철학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한 이후 디오니소스적 니체 철학과 그 100년의 유산을 학문적으로 전복하고 있는 르네 지라르의‘십자가의 인류학’의 빛으로 짙은 허무주의적 차원에 갇힌 포스트모던적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의미와 진리를 새롭게 발견하는 생명의 철학과 생명의 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신에 대한 죽음에 대한 말은 이후 현대 철학, 특히 프랑스 일부 철학자들이 주도한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에서 주체의 죽음, 진리의 죽음 그리고 윤리의 죽음을 가져왔다. 니체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에서 볼 수 있는 죽음과 폭력에 대한 매혹은 바타이유, 그리고 데리다와 푸코 등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이 니체의 철학적 유산은 반기초주의, 해체주의,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말하는 진리와 윤리의 죽음과 해체에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르네 지라르의 분석처럼‘신은 죽었다’라는 니체의 말 이후로 포스트모던적 시대정신 속에서 주체의 죽음, 인간의 종말, 역사의 종말 등등 온갖 종류의 죽음과 종말이 유행했다.‘신은 죽 었다’라는 구절 뒤에 등장하는 니체의 『즐거운 학문』의 또 다른 구절“우리가 그를 살해했다”라는 구절은 점차적으로 망각되었 다. 또한 니체의‘신은 죽었다’는 신학에서 사신신학으로 이어지 기도 했다.

This paper deals with postmodern fascination with death and violence since the proclamation of‘God is dead’by Nietsche. And overcoming this kind of philosophies of death, this paper seeks a new possibility of life philosophy and life theology in the mimetic theory of R. Girard. Nietzsche instituted the“death of God”movement, which he knew would lead to the death of fixed meaning and objective truth. After the‘death of God’, the subject died in the hands of post-modern deconstructor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The Death of the Author”are closely related to the post-modern trends of collapse of meaning, inability of originality, the death of God  Charles Taylor analyses a kind of revolt against the primacy of life in the name of the great, the exceptional and the heroic. For Taylor the most influential proponent of this kind of view has been Nietzsche. And it is significant, according to him, that the most important anti-humanist thinkers of our time: e.g., Foucault, Derrida, behind them, Bataille, all draw heavily on Nietzsche. The fascination with death and violence recurs in the interest in Bataille, shard by Derrida and Foucault. What Charles Talyor have been calling the immanent counter-Enlightenment thus involves new valorization of, even fascination with death and sometimes violence. It rebels against the exclusive humanism that dominates modern cultur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12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고 / 김혁돈, 이재호 2019  480
711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74
71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2019  6262
709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21
70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박은철 2019  225
707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53
706 20 죽음과 죽어감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2019  149
70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역사 / 김창곤 2019  330
704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41
703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2019  67
702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2019  169
701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44
70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3
69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69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40
697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과 신학적 윤리 / 이창호 2019  132
69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7
»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정일권 2018  165
694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성인돌봄서비스 시장에 대한 감독 개혁과 한국 장기요양의 시사점 / 전용호 2018  124
69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 천호정 2018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