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3253 
죽음을 대하는 현대의학의 태도 비판 

=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Attitude of Modern Medicine toward Death - in the Perspective of Existentialist Psychology -

  • 저자[authors] 박중철(Park, Joong-chul)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9-7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현대의학,의학적 무의미함,죽음불안,자존감,실존주의 심리학,Modern Medicine,Medical Futility,Death Anxiety,Self-esteem,Existentialist Psychology

초록[abstracts] 
[전통사회의 공동체적 연대가 무너진 현대사회에서는 죽음은 개별화, 범속화, 의료화의 과정을 밟아가고 있다. 특히, 한국인의 75%가 의료기관에서 죽음을 맞이하게 되면서 병원은 죽음이 일상이 되는 공간이 되었고, 반면 무의미하게 죽음을 지연시키는 연명의료도 급증하였는데 이는 죽음을 대하는 의학의 태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오늘날 의학이 죽음을 대하는 태도의 특징은 첫째 죽음을 의학의 패배로 인식하여 첨단 기술을 통해 마지막까지 저항하는 것이며, 둘째 그러한 저항을 법률, 윤리적 원칙, 치료지침이라는 도그마를 통해 합리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글은 무의미함을 알면서도 의학이 과학기술의 가능성과 도그마에 의존하여 죽음에 저항하는 현상을 ‘인간은 죽음에 대한 공포를 스스로를 영웅화 하려는 시도를 통해 극복하려한다’는 실존주의 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실존주의 심리학자 중 한 명인 어네스트 베커에 따르면 인간은 죽음의 불안에서 벗어나 영웅이 되기 위해 나르시시즘(narcissism)과 전이(transference)라는 태도를 활용한다. 나르시시즘은 자신의 능력을 자존감의 근거로 삼는 것이고, 전이는 집단이나 문화에 자신을 예속시켜 동일시하는 것이다. 현대의학은 첨단의학이라는 기술적 나르시시즘에 의존해왔으며, 결국은 맞이하게 되는 죽음 앞에서 법률, 원칙주의 윤리, 치료지침이라는 도그마 속에 예속되어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기술주의와 도그마주의는 의학이 극복할 없는 죽음 앞에서 자존감을 지키는 근거, 즉 정체성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의학의 이러한 정체성은 결국 죽음의 과정에서 환자의 주권을 허용하지 않고 기술과 도그마를 통해 그 주도권을 강탈하여 연명의료를 정당화시키게 된다. 설령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의해 연명의료가 시행될 수 없더라도 이는 환자 자신의 포기이지, 현대의학의 포기가 아니므로 패배감을 피하갈 수 있게 된다. 자기 죽음의 과정에 대한 환자의 주권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의학이 자신의 자존감을 지킬 수 있으려면 의학이 죽음에 대한 새로운 태도 혹은 관점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생명연장이라는 양적 기준이 아닌 ‘삶의 완성’이라는 질적 기준을 달성하는 완화의학과 서사의학의 확산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 죽음에 대한 의학적 대응을 변화시키고 잃어버린 우리사회의 죽음의 문화를 새롭게 정초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Since the solidarity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has collapsed, deaths in modern society are proceeding with privatization, banalization, and medicalization. In particular, 75 percent of Koreans are dying in medical institutions today, so the death in hospitals has become a common occurrence. There is also a proliferation of medical futility in life-sustaining treat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attitude of medicine toward death. Such attitude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the medical profession recognize death as a medical defeat, and they resist it through advanced technology. Second, such resistance is rationalizing through ‘Dogma’, such as ‘principles of ethics’ and ‘treatment guidelines’. This article analyze the medical futility relying on ‘technological possibility’ and ‘medical dogmas’ in perspective of ‘existentialist psychology’ which persist that Human beings overcome the fear of death through an attempt to be a hero. One of them, Ernest Becker, explained how human beings become heroes through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narcissism’ and ‘transference’. According to Becker, It is narcissism to regard one’s ability as basis of self-esteem, and transference is the identification by subjugate ones’ own self under superior groups or cultures. Modern medicine has depended on the technological narcissism, and subjugating under the dogmas(laws, principle of ethics, treatment guidelines) to preserve itself from the fear of death. Ultimately, these technicism and dogmatism have become the identity of modern medicine against inevitable death. This identity of medical practice ultim ately justifies life-sustaining treatment by allowing it’s intervention to deprive patients’ sovereignty in their dying process. If the patient wants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they should rely on the legal and ethical principles of the law. In this case, the death of a patient is because of its own abandonment, not because of medical failures. And medicine can preserve the identity which it have to struggle against death. Medicine now needs a new identity to protect its self-esteem without violating patients’ sovereignty over their dying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move the goal of medical practice to helping the completion of life not artificial prolongation of life. Ultimatel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our society to renew the culture of death.]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서론  2. 현대사회의 죽음문화와 생명윤리의 규범화  3. 죽음에 대한 오늘날 의학의 태도  4. 죽음불안과 자존감의 관계  5. 결론: 죽음에 대한 의학의 새로운 정체성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2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의사조력자살 / 허순철 2010  294
41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장경희 2017  293
41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가톨릭교회의 가정호스피스 현황과 활성화 방안 :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 장인우 2014  292
40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은자 외 2016  292
40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9
40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 권미연 2017  288
40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과 환자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태도와 인식 / 권예옥, 안성희 2013  286
40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정순태 2016  286
40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김찬우,신수경 2018  285
40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4
4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2017  284
401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40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 엄정경 2017  283
39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1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대하는 현대의학의 태도 비판 / 박중철 2017  281
39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39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사책임과 입법적 고찰 / 최은희 2006  277
39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강성자 2018  277
394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강지혜 2019  277
393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