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교육문화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80002 
어린이죽음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 

= Perception and Attitude of Parent’s in Children Death Education

  • 저자[authors] 권수빈(Kwon, Su Bin),윤솔(Yoon, Sol)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교육문화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3No.5[2017]

  • 발행처[publisher]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73-39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어린이죽음교육,죽음 이해,원인연쇄분석,내용분석,질적 연구,Children death education,Death understanding,Casual chain analysis,Content analysis,Qualitative research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원인연쇄분석을 활용하여 어린이죽음교육에 관한 부모의 이해를 기술하였다. 부모는 어린이가 성장하며 겪는 모든 삶의 과정에 교육자 역할을 수행하므로 부모의 죽음 이해는 어린이가 죽음을 받아들임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3-9세 자녀를 둔 부모들을 심층 면담하여 질적 자료 수집하였고 자료는 원인연쇄분석과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해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들은 첫째, 죽음은 자연스러운 삶의 과정이므로 죽음교육이 오히려 삶과 죽음을 분리시킨다고 여겼다. 둘째, 부모가 죽음교육에 대하여 알거나 경험한 바가 없었고 이는 부모가 자녀의 죽음교육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해주지 못했다. 이는 부모가 자녀에게 죽음을 설명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설명하기를 주저하고 어려워하는 이유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죽음교육은 가족공동체 내에서 소통과 정서적 유대를 바탕으로 교육해야만 하며, 어린이의 죽음교육을 위해 부모 스스로 죽음을 말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함께 배워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describes parents’ understanding of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by using causal analysis. Parents play the role as an educator for every process of life that childre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death of parents is crucial for children to accept death.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who had children aged between three and nine year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aus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regarded death education as treating death separately from life, as death is a natural process of life. Second, the parents did not know about or have experience of death education, and this meant that they did not hav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death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This was not only the reason the parents did not explain about death to their children but also the reason they were reluctant or difficult to explain about death. Education on death should be based 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bonds, and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talk about death themselves and, determine together a way to understand it for death education among children.]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죽음교육, 그리고 부모와 어린이 자녀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
6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병원윤리위원회 역량강화 교육모듈 개발 / 이강숙 2012  71
»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죽음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 / 권수빈 외 2017  71
66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2
66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의 법률적 쟁점 및 향후과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정유진 2017  72
667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66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 발생 현황 분석 / 김혜림 2017  73
665 20 죽음과 죽어감 취약한 집단에서 연명의료 / 박소연 2017  73
66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법안의 분석과 평가 : 입법학적 관점에서 / 홍완식 2009  73
6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 제도화’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윤리 신학적 고찰 / 이병근 2017  75
662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66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660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2008  77
65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65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2018  77
65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2006  77
65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 오세혁, 정화성 2010  78
65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태도 영향 요인 / 서유리 2017  78
654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 인식에 따른 호스피스 준비의 관심에 관한 연구 / 장경희 외 2018  78
653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 / 남미영 외 1995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