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철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91807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Understanding of Death in Existentialism and Death Education

  • 저자[authors] 신교남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iii, 204 p. ; 26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이병승<br>참고문헌 : p. 187-201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철학전공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남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공주대학교 도서관 (244004)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the death of the existential philosophers and discuss death education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death. The study shows that the understanding of death based on existential philosophy gives significance to death education and secures the implications of death education. Three conclusions about the meaning of death education are as under.    First, death education has its meaning as an anticipation of life education. Authenticity can be restored by reflection on death. Heidegger insisted that the restoration of authenticity is to reveal the uniqueness of being in all beings. It is possible that an inauthentic being can restore authenticity through the anticipatory determination toward death. Death education can reinforce the will of life, and it presupposes self-education for a subjective and independent life through own decision. Additionally death education can be a door to communication to others.    Second, death education helps us exercise right self-determination. It is reviewed that death education can help us have our own decisions on death under this modern time of death Medicalization. The ethics of euthanasia assures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The impending law of life sustaining treatment(well dying bill) is discussed with the existential point of view. Death education can be necessary because our own decisions on dignified life and dignified death are closely connected to Exitenz.    Third, death education makes us ascend to the level of leap and transcendence. Th acceptance of death and reflection on death play a major role in such possibility. Consequently, death education lead us to the level beyond Existenz, which result in an altruistic life.    There would be eight subjects of death education to be discussed 1. Death education can help us establish existential self by serious thinking. 2. Death education can provide, in terms of Amor Fati by Nietzsch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3. Death education can give us existential freedom to overcome boundary situation. 4. Death education can be co-existence education beyond individual existential education. 5. Death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in terms of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and Buddhism. 6. Death education can be the alternative education with the possibility of non-continuous education. 7. Death education can open another horizon by giving us a turning point. 8. Last but not least, death education and existential philosophy has its own limitation.     Death education can have its fundamental on existential philosophy because death as Existenz is not a gradual change but a revolutionary and holistic transformation. Death takes away and destroy the life from us but the serious thinking about the death matures our life. Death education should be the education for valuable life, reflective life, and consummated 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692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69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 유권종 2008  63
6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2018  63
689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석란 2016  64
68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현정 2017  64
687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 / 윤동욱 2018  64
686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5
685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 김지수 2017  65
684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제도에 대한 그리스도교 이해 / 우석민 2018  65
68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68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신성호 2017  66
681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68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
679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2017  67
678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2019  67
6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
676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2000  70
675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2017  70
67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PR 캠페인의 전제 / 김병희 외 2018  70
67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