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기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14000 
연명의료결정법과 보험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nd of Life Options Act and Insurance Legal Issues

  • 저자[authors] 이성남(Lee, Sung Na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과기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No.1[2018]

  • 발행처[publisher]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1-19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자살,안락사,존엄사,보험사고,연명의료 중단,사망보험금,사망 시기,원인사고,Suicide,Assisted suicide,Assisted dying,Homicide,Murder,Accidental death,Physician-assisted suicide,Euthanasia


초록[abstracts] 
[인간의 생명은 인간존엄의 생물학적 기초이자 모든 개별 기본권의 주체인 인간의 지위를 유지시켜 주는 핵심적인 법익이다. 인간은 태어나서 사망에 의해 생을 마감하게 된다. 사망이란 살아 있는 조직을 지탱하는 생물학적 기능의 정지 상태를 말한다. 법학적 의미에서 사망은 일종의 사건에 해당하고 민사법 형사법적 의미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인간의 행위 내지 힘이 개입되지 아니하는 사망은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이는데 인간의 사망이 인위적인 개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법률적 평가 및 취급이 각각 다르게 된다.    한편 2009년 김할머니 사건으로 인해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을 통한 인간의 존엄 · 가치 실현이 중시되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 등을 중시하고 이에 대한 엄격한 절차를 마련하기 위하여 2016년 2월에 호스피스 ·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보험계약에서 사망이 가지는 의미는 사망이라는 사건은 일종의 보험사고 내지 보험금 지급사유가 된다. 생명보험의 보험사고는 사망 또는 생존, 사망과 생존이다. 보험법적 관점에서 볼 때 병으로 사망하는 경우는 질병사망으로서 일반사망으로 분류되고, 재해나 상해 등 각종 사고로 사망하는 경우에는 재해사망보험금 또는 상해사망보험금의 지급대상이 된다.    연명의료중단 또는 임종과정에 이르게 한 사고 즉 질병 또는 재해를 상법 제638조의 ‘불확정한 사고’로 볼 수 있는지, 불확정한 사고라면 재해로 보아 재해사망보험금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이에 따라 연명의료 중단 및 그 시행과 관련한 법적 의미를 살펴보고, 관련되는 쟁점사항들을 미리 점검하여 봄으로써 동법 시행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설  Ⅱ.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일반론  Ⅲ. 원인사고 또는 연명의료 중단 중 어느 쪽이 보험사고인지 여부  Ⅲ. 연명의료결정법 제37조에 따라 연명의료중단에 의한 사망이 면책사유로서 고의가 아니라고 볼 수 있는지 여부  Ⅳ. 안락사가 합법화된 외국에서 안락사를 실시한 경우 약관상 사망보험금 지급여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692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69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 유권종 2008  63
6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2018  63
689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석란 2016  64
68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현정 2017  64
687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 / 윤동욱 2018  64
686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5
685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 김지수 2017  65
684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제도에 대한 그리스도교 이해 / 우석민 2018  65
68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68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신성호 2017  66
681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68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
679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2017  67
678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2019  67
6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
676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2000  70
675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2017  70
67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PR 캠페인의 전제 / 김병희 외 2018  70
67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