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97655 
자살위험노인 동년배상담가의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the Peer Counselor for Older Adult at Risk of Suicide

  • 저자[authors] 박종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ⅳ, 174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혜숙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동년배상담,자살,노인,질적 연구,현상학,Colaizzi
  • 소장기관[Holding]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211035)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결과는 동년배상담가의 의미 있는 진술들을 토대로 하여 자살위험노인에 대한 상담경험에 대해 범주화하여 20개의 구성된 의미모음이 형성되었고, 9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범주로 구조화되었다. 자살위험노인을 대상으로 한 동년배상담가의 상담경험은 참여동기의 단계로서 ‘생명지킴이의 희망’, 관계형성의 단계로서 ‘친구관계 맺기’, 상담의 실천단계로서 ‘준전문가적 개입’, 상담의 종결단계로서 ‘좌절과 보람 사이’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자살위험노인을 대상으로 한 동년배상담가의 상담경험의 본질에 대한 질적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동년배상담가는 클라이언트의 우울과 자살충동에 대해 상담하면서 자아성찰을 통해 노년을 초월적인 관점으로 지향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동년배상담가는 클라이언트와의 이별과 사별의 아픔을 경험하지만 노인자살예방이라는 의미 있는 노년의 과제를 향해 나아가며 자아통합감을 성취해 가고 있었다. 셋째, 체계적 관점에서 자살위험노인에 대한 동년배상담모델이 효과적인 사회복지적 상담전략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실천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자살위험노인 동년배상담가를 비전문가적인 노인자원봉사자로 대우하기 보다는 효과적인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준전문가로서 양성,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동년배상담가가 클라이언트와의 이별과 사별로 인한  상처가 있을 때, 노인상담센터(노인자살예방센터) 차원에서의 심리적,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 셋째, ‘상처 입은 치유자(The Wounded Healer)’로서 우울과 자살충동의 선경험을 하고, 회복의 경험을 가졌던 동년배상담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정책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노인자살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5년마다 시행되는 자살예방기본계획에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전략으로서 동년배상담가의 역할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중앙정부에서 노인보건복지사업 지침으로 전국의 시군구에 노인상담센터(노인자살예방센터)를 노인복지관의 부설센터로 설치를 의무화함으로써 전문상담사, 사회복지사뿐만 아니라 동년배상담가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인상담센터(노인자살예방센터)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내에 자살예방분과를 설치하여 지역사회의 협력기관, 민간단체, 주민센터, 지방자치단체 등과 통합적인 사례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동년배상담의 효과성 검증에 치중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자살위험노인 동년배상담가가 경험한 상담경험의 역동성과 구조를 파악하였다는 측면에서 사회복지적 함의를 가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551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550 20 죽음과 죽어감 생을 마감할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의사조력사를 중심으로/김하열 2016  470
549 20 죽음과 죽어감 자기의사결정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사전의료지시에 미치는 영향 / 정혜영 2014  469
548 20 죽음과 죽어감 저소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명숙, 김준수 2015  469
547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54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68
545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 이선화 2014  467
54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543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의 법리와 제도 연구 / 박동섭 2013  455
542 20 죽음과 죽어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2013  453
541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충희 2018  452
540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1
5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538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53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536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535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2
5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최금희 외 2018  439
5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