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불교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03662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 Suggestions for Mature Death-Culture - Three Alternatives of Passive-Euthanasia

저자[authors] 오진탁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불교학연구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2006]
발행처[publisher] 불교학연구회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수록면[Pagination] 29-54
언어[language] Korean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6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220
주제어[descriptor] 소극적 안락사(Passive-euthanasia),자살(Suicide),죽음문화(Death-culture),임사체험(Near-death-experience),죽음준비교육(Death-education),호스피스(Hospice),생전유언(Living-will),생사학(Thanatology),존엄사(Death-with-dignity),뇌사(Brain-death),심폐사(Heart-death),죽음정의(Definition of death)

초록[abstracts] 
[Understanding death in the right way is very important. Depending on how well one understands death and in what way one defines death, the discussion on death can lead to denying it or tabooing the issue altogether. Nowadays, the definition of death relies on clinical determination of men's medical condition in such terms as brain death or heart death. Death should not be defined entirely in terms of the collapsing of the body. The founder of Thanatology (the study of death and dying), Qubler-Ross, states that the human has a soul and that defining death means going beyond the realm of the physical and the material to the realm of the soul, the mind, and life itself. In this context, death doesn't exist for two reasons. First, such medical pronouncement as brain death or heart death has functioned so far as the definition of death, thus, there has only been the discourse on the criteria for medical decisions, but not on death itself. Secondly, the death as we know only marks the physical death since the soul begins its journey, separating from the body. In a society where there is only the discourse on the medical criteria for physical death, but not the significance of death itself, people tend to think of physical death as the end of it all. As a result, one witnesses the increase of suicides and increasing number of unhappy death. Therefore for the  formation of death-culture I offer three suggestions. First Death-Education, second Living Will or Advance-Directive, third Hospice.]

목차[Table of content] 
Ⅰ. 죽음문화가 없다 Ⅱ. 새로운 죽음문화 형성을 위한 모색  Ⅲ. 첫 번째 제안 : 죽음준비교육 Ⅳ. 두 번째 제안 : 존엄한 죽음 1. Living Will, 존엄한 죽음을 위한 선언  2. 소극적 안락사와 존엄사의 차이 Ⅴ. 세 번째 대안 : 호스피스의 활성화  Ⅵ. 맺는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1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헌법적 근거, 범위, 환자의 의사확인을 중심으로 - / 박승호 2018  146
21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홍성애 2010  145
210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20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 강경아 외 2010  145
208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2010  143
207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3
206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3
205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의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 : 피험자 보호 관점에서 / 김지예 2013  142
204 20 죽음과 죽어감 지면보수교육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지침과 해설/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2017  142
203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남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 / 안순녀 2019  142
20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게 자원봉사를 제공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석준 외 2017  141
20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국가자살예방전략에 따른 뉴욕주 자살예방정책 / 손해인 2018  141
20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장한철 2018  141
199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39
1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과 유보 결정에 대한 한국 중환자 전담의사 인식과 실행/김소윤 외 2009  138
19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조윤경 2017  138
196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19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결정에서 의료의 한계/안용항, 김혜정 2010  137
194 20 죽음과 죽어감 인지면담을 이용한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모델 개발 / 김신미 2013  136
193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에 존엄사를 위한 존엄치료의 역할 / 김유숙 2017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