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와 이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61526 

고령사회와 죽음교육의 사회학


= Aged Society and Sociology of Death Education - A Critical Review of Death Education in Korea -


  • 저자[authors] : 서이종(Suh, Yi-J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사회와 이론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8No.-[2016]

  • 발행처[publisher] : 한국이론사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69-103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6

  • 주제어[descriptor] : 고령사회,죽음교육,죽음교양교육,사회적 죽음,절차 및 결정교육,aged society,death education,general education,social death,education for process and decision making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우리나라 죽음교육의 현황을 리뷰하고 사회학적 관점에서 그동안의 죽음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초고령사회로 나아가는 우리 사회의 향후 과제를 도출하는 논문이다. 우리 사회에서 죽음교육은 2001년 각당복지재단을 시발로 여러 기관으로 확산되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커리큘럼 분석을 통해 보면 인문학적 죽음교양교육이 주로 시행되고 있으며 여기에 상담과 돌봄교육이 보완적으로 이루어질 뿐 죽음의 절차와 의사결정에 대한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문주의적 죽음교육을 네 가지 주제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첫째, 인문주의적 생사학은 죽음교육의 기초로서 죽음교양교육의 주요한 내용을 이루지만 자연스런 죽음을 전제하고 주로 이루어지는 병원에서의 죽음 등 현실적인 죽음현장과 괴리되고, 사후세계를 결합하는 것은 죽음의 영적 성숙을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둘째, 죽음과 죽어감은 개인적 현상이지만, 동시에 사회적 죽음과의 관련성으로확장하지 않으면 개인적 각성을 넘어 사회적 연대로 확산되지 않는다. 셋째, 죽음과 죽어가는 과정의 법제도적 절차와 의사결정 교육을 간과하여 죽음을 당면할 고령층에게 실질적인 죽음준비교육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넷째, 피교육자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려없는 인문주의적 죽음교육은 고령층의 죽음경험 등을 포함한 생애사와 세대문화를 고려하지 않아 실질적인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없다. 향후과제로는 죽음교양교육, 죽음절차 및 결정과정에 대한 교육, 상담과 돌봄교육의 균형적인 커리큘럼을 지향하며 피교육자인 고령층의 생애사와 세대문화를 고려하여 전문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 요약 

1. 들어가는 말 : 죽음(준비)교육과 사회정치적 시각  2. 한국사회의 죽음교육의 현황과 특징  3. 한국사회의 죽음교육의 과제 (1): 죽음교육의 기초와 생사학  4. 한국사회의 죽음 교육의 과제 (2): 개인 죽음과 사회적 죽음  5. 한국사회의죽음교육의과제(3): 죽음절차및결정과정교육  6. 한국사회의죽음교육의과제(4): 생애사별죽음교육의다양화와 노인층 죽음교육  7. 맺는 말 : 한국사회의 죽음 교육의 방향과 향후 과제  참고 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3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의 날을 보내며 / 이동우 2018  34
731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5
73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최창익 2015  35
7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과 가톨릭 교회 / 이동익 2018  36
728 20 죽음과 죽어감 Support for Voluntary Euthanasia with No Logical Slippery Slope to Non-Voluntary Euthanasia / Daskal 2018  36
727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 강승식 2013  37
726 20 죽음과 죽어감 When Is ``Dead'' Actually Dead? 2014  41
72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72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723 20 죽음과 죽어감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15  45
722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이 알아야 할 웰다잉 / 정현채 2010  46
721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엄주희 2013  46
72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 진료에 관한 연구 / 최윤선 외 1995  46
719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 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상관성 / 박경란 외 2018  46
718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 생명 말기에 경험하는 고통과 삶에 대한 태도 -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 최진일 2018  47
71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 오승민 외 2008  47
716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기관 유형에 따른 입원환자의 경험에 대한 고찰 / 정현철 외 2018  50
715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 김명숙 2014  51
7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서영준 2017  51
71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광현 2012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