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52308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 Hospice Palliative Educa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Hospice,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 저자[authors] : 최금희,권수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1No.1[2018]

  • 발행처[publisher]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4-22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8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는 일 지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 교육을 실시하여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호스피스 인식확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일부터 11월 17일까지이다. 본 연구는 U시 소재 일개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실시하는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였다. 실험군에게는 총 10주간매주 3시간씩 총 30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실험군, 대조군에게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하여 χ2-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호스피스 완화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은 t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한결과, 호스피스 인식(t=6.63, P<0.001), 죽음에 대한 태도(t=2.36, P=0.023), 삶의 의미(t=5.06, P<0.001) 정도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은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 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우리 사회에 편만한 호스피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며 삶의 의미를 고취시키는 적극적인 시도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9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운동과 죽음학: 웰빙Well-Being을 넘어 웰다잉Well-Dying의 시대로 / 문영석 2010  62
691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6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2018  63
689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4
688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석란 2016  64
687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 김지수 2017  64
686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제도에 대한 그리스도교 이해 / 우석민 2018  64
68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현정 2017  64
684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 / 윤동욱 2018  64
68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68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신성호 2017  66
681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68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
679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2017  67
678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2019  67
6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
676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2017  69
675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2000  70
674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죽음 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 송현동 외 2018  70
67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PR 캠페인의 전제 / 김병희 외 2018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