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 생사문화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70361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Activation Plans about the system of advance determination of intention on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 이창배
• 형태사항 : ⅵ, 154장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우성기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 생사문화학과 2017. 2
• DDC : 393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7
• 주제어 : 연명의료중단, 자기결정권,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http://www.riss.kr/link?id=T14470361 

초록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복지와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은 인류가 추구하는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 말기환자의 존엄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하여 연명의료중단 결정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명의료중단 결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기결정권에 의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올바른 운용방향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국·내외 연명의료중단 결정의 법적 근거, 판례 분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인식현황 그리고 법적·윤리적 근거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의 자료를 검토하여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을 찾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민간차원에서 우리사회에 통용되고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의 경우,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기 전에 다양한 단체들의 편의에 의해 법적 근거에 따른 적법절차를 거치지 않고 비공식적으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제정된 『환자연명의료결정법』에 근거한 표준화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을 만들 필요가 있어 연구를 통하여 제안하였다. 둘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시기의 개선이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3
1. 연구 범위 = 3
2. 연구방법 = 4
제2장 연명의료 결정의 의의 = 6
제1절 연명의료 결정의 정의 및 대상 = 6
1. 연명의료 결정의 정의 = 6
2. 연명의료 결정의 대상 = 7
제2절 국내 연명의료결정 제도 = 8
1. 국내 연명의료 결정의 입법 및 제도화 과정 = 8
2.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입법(안) = 16
3.『환자연명의료 결정에 관한』법률 = 21
제3절 국외 연명의료 결정 제도 = 27
1. 미국의 연명의료 결정 제도 = 27
2. 일본의 연명의료결정 제도 = 29
3. 독일의 연명의료결정 제도 = 33
4. 싱가포르의 연명의료 결정 제도 = 36
5. 대만의 연명의료 결정 제도 = 38
제4절 연명의료결정의 법적 근거 = 41
1. 연명의료결정의 헌법적 근거 = 41
2.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적 근거 = 50
3. 연명의료중단의 민법적 근거 = 55
제5절 국·내외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판례 분석 = 58
1. 국내 판례 분석 = 58
2. 미국의 판례분석 = 64
3. 독일의 판례분석 = 69
제3장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의 현황 = 74
제1절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정의 및 필요성 = 74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정의 = 74
2. 연명의료에 있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필요성 = 75
제2절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법적·윤리적 근거 = 77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법적 근거 = 77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윤리적 근거 = 82
제3절 국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 현황 = 93
1. 국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 현황 = 93
2. 국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 현황 = 99
3. 국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인지 현황 = 103
제4절 국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의 현황 = 112
1. 미국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 = 112
2. 오스트리아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 115
3. 싱가포르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 117
4. 대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 118
5. 영국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 120
제4장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 활성화 방안 = 122
제1절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활성화 방안 = 122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 개선 필요 = 122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시기의 개선 필요 = 128
3.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전문 상담원 교육양성 = 130
4. 사전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인식변화 유도 = 134
제2절 기타 활성화 방안 = 137
1. 연명의료중단 결정을 위한 병원윤리위원회의 활성화 = 137
제5장 결론 및 제언 = 142
참 고 문 헌 = 147
Abstract = 151
활용도 분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3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강다영 2014  438
53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형법적 문제점 / 이용식 2007  437
53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윤석준 2016  435
52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시설 노인과 보호자(대리인)간의 연명치료에 대한 의견일치도 비교 : 충남 공주시 지역 장기요양시설 중심으로 / 임선미 2014  434
5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4
527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
52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상률 2010  430
52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52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6
52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6
52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521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52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519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20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2017  420
517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신성식 2014  418
516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안락사와 존엄사에 관한 연구 / 김명식 2010  416
515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2018  416
5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말기암환자 돌봄 경험/권수혜, 태영숙, 홍민주, 최금희 2015  414
513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연명치료중단 판례와 입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