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538357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The Implications of de and jen: Medical Decision-Mak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alects


• 저자명 : 손보미

•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권호사항 : Vol.20 No.1 [2017]

• 발행처 : 한국의료윤리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medicalethics.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78-90(13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등재정보 : KCI등재


초록


생명 말기 환자의 의학적 의사 결정에 환자 가족이 관여하는 우리나라의 현상은 전통문화인 유학과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글은 유가 문헌인『논어』의 “도(道)에 뜻을 두며, 덕(德)을 굳게 지키며, 인(仁)에 의지하며, 예(藝)에 노닐어야 한다”에 주목하여, 덕과 인 함의를 고찰하였다. 위 문장에서도는 인륜, 예가 예의[禮]에 해당한다고 보면, 덕과 인은 인륜과 예의를 매개하는 함의가 있고, 이러한 함의는 윤리적 결정을 도모하는 의학적 의사결정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현대의 의료윤리원칙과 유학윤리가 상호 인정의 측면과 차이의 측면이 있음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는 자율성 존중, 선행ㆍ악행금지, 정의 원칙은 상호 인정의 측면이 있으나, 사람을 자율적이고 동시에 관계적 존재로 파악하는 유학의 인간관은 의료윤리의 네 원칙이 상충할 경우, 선행 원칙을 가장 우선적으로 강조한다는 차이가 있다고 논증하였다. 그 다음,『논어』에 보이는 덕과 인 용례를 고찰하여 그 의미의 갈래와 실천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필자는『논어』에서 덕과 인은 수신의 중요성과 제도정비의 필요성을 함의한다고 본다. 본 논문은 제도정비의 필요성 측면에서『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을 살펴보아 몇 가지 결론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12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51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원리형량 : 로버트 알렉시의 원리형량론을 중심으로 / 장희숙 2014  410
510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50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 조민석, 문하영 2014  407
50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50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 천호정 2018  403
506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 김숙남 외 2016  402
50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1
504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1
50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0
502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50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50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399
49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398
4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49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5
49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4
49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49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
49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