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외법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468368 

우리나라 장기이식의 현황과 법률문제
= A Study on Actual Profile of Organ Transplantation in Korea and Relevant Legal Issues
8

  • 저자명

    문성제(Moon Seong-Jea)

  • 학술지명

    외법논집


  • 권호사항

    Vol.24 No.- [2006]

  • 발행처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Law Research Institute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발행처 URL

    http://lawri.hufs.ac.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47-172(26쪽)

  • 언어

    -

  • 발행년도

    2006년

  • KDC

    360.5

  •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 KCI 피인용횟수

    5

  • 주제어

    장기이식 ,뇌사자 ,인간생명 ,환자의 치료 ,장기 기증자 ,자가이식 ,이종이식 ,인공장기 ,사체훼손 ,장기수용 ,사체 ,인간존중 ,장기등이식에 관한 법률,Organ transplantation ,brain death ,human life ,medical treatment ,donor auto-transplantation ,Xenograft. medical organ ,damaged corpse,organ recipient ,dead body ,human respect ,The Organ and Equivalent Transplantation Act


  • 초록 (Abstract)
    • Organ transplantation, the finest example of modern medicine, is based on respect for human life in that it can deliver patients from malignant diseases incurable in past.
      Since the first successful operation in 1969 as followed by successful transplantation of liver extracted from a person with brain death in 1988, organ transplantation has been already one of most crucial medical arts in Korean and global medicine. Here, organ transplantation consists of 2 processes; one is transplanting organs for medical treatment of patients, and the other is extracting necessary organs from organ donor. The organ transplantation includes auto-transplantation(organ recipient = organ donor), xenograft(replacement with animal organs), insertion of mechanical organs and more. These cases don"t involve any special legal issue except general issues in surgical operation such as medical adaptation for such treatments, technical criteria about such medical behaviors and patient"s agreement.
      But in case of xenograft that needs different organ donor from organ recipient, any one party concerned faces inevitable issues like lost organs or damaged corpse, and the other party benefits from survival or recovered health via transplantation. Because of this contradiction, the organ transplantation involves a question about how to resolve relevant legal issues. As shown here, it is also necessary to discuss extra legal considerations about different interests in organ transplantation between organ donor and recipient. Although there are issues concerned with organ transplantation in terms of organ recipient, it may be construed as general medical behaviors in regard to the nature of medical cure.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organ donor, even though the extraction of organ is indispensable for the cure of organ recipient, such extraction itself is not inherent behaviors of medical cure, so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series of legal principles to legitimate such behaviors. Here, they depend on whether certain organ is extracted from living organism or dead one. Furthermore, the extraction of organ from living or dead body involves a series of questions like whether to follow the intent of person who has a disposition authority, who the person is, which legitimate effects the expression of his/her intent may have in force, and so forth.
      In addition, in terms of organ transplantation from living organism for successful transplantation, conflicts concerned with brain death related to beginning and end of person as principal with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have been already controversial in discussions between legal and medical circles since long decades ago. Fortunately, the latest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Organ and Equivalent Transplantation Act” gives a clue to resolve these conflicts, but there are still little reviews and studies about potential issues concerned with human respect. It is possibly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eries of brisk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se issues. From this viewpoint, this paper focuses on posing questions related to organ transplantation and suggesting corresponding solution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발행년 2001 

  • 조회 수 343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이현선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생체 신장 제공자의 수술 후 장기 추적 결과 / 이호균, 박종훈, 정상영, 최수진나

발행년 2012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발행년 2007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328

19 장기 조직 이식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 황병덕, 임복희, 정웅재

발행년 2011 

  • 조회 수 328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발행년 2004 

  • 조회 수 32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발행년 2013 

  • 조회 수 32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발행년 2008 

  • 조회 수 32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발행년 2004 

  • 조회 수 317

19 장기 조직 이식 연구논문(硏究論文) : 장기이식에 관련한 법적,현실적 문제와 그 해결방안

발행년 2011 

  • 조회 수 31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발행년 2005 

  • 조회 수 30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4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발행년 2012 

  • 조회 수 303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발행년 2015 

  • 조회 수 301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장기이식의 현황과 법률문제 / 문성제

발행년 2006 

  • 조회 수 29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법상 장기기증자 지원 제도에 관한 고찰 / 김현철

발행년 2016 

  • 조회 수 29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