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曹(Lawyers Association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7008119 

연구논문(硏究論文) : 장기이식에 관련한 법적,현실적 문제와 그 해결방안
= Articles : Rechtliche und praktische Probleme der Organtransplantation

 


  • 저자명

    성낙현 ( Nak Hyon Seong )

  • 학술지명

    法曹(Lawyers Association journal)


  • 권호사항

    Vol.60 No.7 [2011]

  • 발행처

    법조협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0-162(3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 KDC

    360.5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3

  • 주제어

    장기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 ,장기적출 ,장기적출에 대한 동의 ,생체이식 ,뇌사이식 ,Organ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sgesetz(TPG),erweiterte Einwilligungslosung ,Integritat des Leichnams ,Totensorgepflicht ,Organentnahme von Verstorbenen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이식의학의 발달로 인해 대체장기만 확보된다면 해당 장기의 손상으로 사망에 직면한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능성은 크게 확대되었다. 또한 오늘날 기본권을 국가의 권력으로부터 개인의 자유와 권익을 단순히 방어하는 소극적 권리의 의미를 지나 행복추구권의 보장이라는 적극적 권리로 이해해야 한다면 국민은 국가에 대해 충분한 장기이식가능성의 확보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장기적출은 뇌사자 혹은 사망자를 원칙적 대상으로 하고, 살아 있는 자로부터의 장기적출은 의료·생명윤리학상 요구되는 무해성의 원리에 위배되므로 보충적 의미로 이해될 수밖에 없음에 따라 장기공급은 그 수요에 훨씬 못 미치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장기매매를 용인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를 용인하게 되면 장기제공에 응하게 되는 자의 대부분은 사회적·경제적 약자일 수밖에 없게 될 것이며 이는 결국 특정 계층의 인간존엄성과 함께 의료·생명윤리를 침해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뇌사이식의 원칙 아래서 인간존엄성의 침해를 최소화하면서 장기확보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주어진 과제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현실적 해결방안이 제시될 수 있으나 우리의 현행법(장기이식법 제18조 제3항 제2호)이 취하고 있는 완화된 동의방식이 비교적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다만 우리 장기이식법 제18조 제3항 제1호 단서는 본인이 뇌사 또는 사망 전에 장기적출에 동의를 했더라도 그 가족 또는 유족이 이를 명시적으로 거부하는 경우 그 의사를 수용함으로써 친족의 사망자보호권을 한층 두텁게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법태도에 대해서는 사망자의 자기결정권의 존중이나 잠재적 장기수용자의 관점에서는 재고의 여지는 있다고 하겠다. 그 밖에 우리의 장기이식법이 사망한 자의 장기적출에 관한 동의주체로서의 유족의 범위를 형식적 의미의 친족으로 한정하는 것과는 달리 친족법상의 인적 범위 뿐 아니라 사망자와의 개인적 친밀도에 따른 실질적 관계까지 고려하는 독일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독일법에 따르면 친족이라고 하더라도 사망자의 사망 이전 2년간 그와 접촉이 없었다면 결정권한을 갖지 못하는 반면 형식적 친족이 아니라도 당사자의 사망 이전까지 실질적으로 밀접한 인적 관계를 공공연히 유지한 자에게는 가까운 유족과 동등한 결정권한이 부여된다. 이는 물론 가족공동체의 유대성에 대한 양국의 인식차이가 반영된 결과라 할 수도 있겠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적·법률적 친족보다 고인의 뜻을 더 잘 이해하고 따라서 고인이 자신의 고도의 일신적 사후업무를 더 신뢰하고 맡길 수 있는 비친족이 존재할 수 있는 현실은 충분히 감안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발행년 2001 

  • 조회 수 343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이현선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생체 신장 제공자의 수술 후 장기 추적 결과 / 이호균, 박종훈, 정상영, 최수진나

발행년 2012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발행년 2007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328

19 장기 조직 이식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 황병덕, 임복희, 정웅재

발행년 2011 

  • 조회 수 328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발행년 2004 

  • 조회 수 32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발행년 2013 

  • 조회 수 32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발행년 2008 

  • 조회 수 32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발행년 2004 

  • 조회 수 317

19 장기 조직 이식 연구논문(硏究論文) : 장기이식에 관련한 법적,현실적 문제와 그 해결방안

발행년 2011 

  • 조회 수 31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발행년 2005 

  • 조회 수 30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4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발행년 2012 

  • 조회 수 303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발행년 2015 

  • 조회 수 301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장기이식의 현황과 법률문제 / 문성제

발행년 2006 

  • 조회 수 29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법상 장기기증자 지원 제도에 관한 고찰 / 김현철

발행년 2016 

  • 조회 수 29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