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내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87971 
특집 :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Special Review : Optimal Selection of Cord Blood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저자명

    유건희 ( Keon Hee Yoo )                                                       

  • 학술지명

    대한내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권호사항

    Vol.86 No.1 [2014]                                                         

  • 발행처

    대한내과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aim.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4-19(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Umbilical cord blood (CB) has been an alternative hematopoietic stem cell source especially for patients without an appropriate marrow or mobilized peripheral blood donor.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similar overall survival rates after CB transp...
  • Umbilical cord blood (CB) has been an alternative hematopoietic stem cell source especially for patients without an appropriate marrow or mobilized peripheral blood donor.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similar overall survival rates after CB transplantation compared with other donor sources, higher rate of non-relapse mortality is a major obstacle for a successful CB transplantation. Thus, selecting a best appropriate un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outcome of CB transplantation. Adequate cell dose and better HLA matching (antigen-level for -A, -B, and allele-level for -DRB1) have been considered most important criteria of donor choice for CB transplantation. In recent, other criteria including non-inherited maternal antigens, HLA-C matching, allele-level matching at 8 loci (-A, -B, -C, -DRB1), and anti-HLA antibodies are also suggested as factors that might affect the outcome of CB transplantation. This review will highlight current issues regarding criteria of donor choice for CB transplantation. Finally, I will introduce the algorithm and detailed guideline for CB selection recently developed in Korea, which may help physicians to choose best unit available. (Korean J Med 2014;86:14-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유건희 2014  119
20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를 위한 퇴원 전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7  99
206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2013  1887
205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3
20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장려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저항 : 개인의 저항 성향과 정보원 요인을 중심으로 / 김현정 2017  102
203 19 장기 조직 이식 프랑스의 생명윤리법상 장기기증자의 추정동의에 관한 연구 / 이형석 2016  96
202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2016  36
201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2016  39
200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2016  36
199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2015  36
198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2013  50
19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장기이식법의 가족주의적 기반 / 왕혜숙 2016  171
196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체의 이용과 법적 규율 -인체의 소유권을 중심으로 / 양재모 2010  108
195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194 19 장기 조직 이식 이식용장기의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 정상기 2009  62
19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2009  49
19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문화적 관점과 장기이식의 윤리 / 이상목 2005  152
19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법적 문제 : 사자장기증을 중심으로 / 정규원 2003  132
19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김동진 2003  121
189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간이식의 현황과 그 문제점 / 이영주 1999  111